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전투기 격돌 F-15K vs 라팔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대체한 것인데, 현재는 비행의 방향을 선정하거나 주파수를 선택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
의 차세대 전투기 사업은 총 4조2천억원이라는 천문학적 돈이 필요한 거대한 사업이다. 원래 계획에 비해 미뤄지기도 하고 IMF를 겪으면서 도입하려는 전투기 수를 줄이는 등 우여곡절도 겪었다. 물론 ... ...
생체기능조절물질개발사업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밝혀지는 유전자와 단백질의 비밀은 신약개발 가능성을 점차 높이고 있다. 유 단장은 “
우리나라
의 생명공학 기술은 세계적이죠. 각 분야에 흩어져 있는 세계적 결과들을 한곳에 모아, 이를 신약개발에 활용한다면 신약개발 분야도 곧 선진국을 앞지를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한다.이를 위해 ... ...
규제장치 통해 동물 희생 감소시켜야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주장했다.실험동물을 윤리적·과학적으로 사용하도록 규제하는 법안제정 움직임은
우리나라
에서도 일고 있다. 지난 2월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청(식약청)은 한국실험동물학회와 공동으로 ‘실험동물법’(가칭)의 초안을 마련해 국회에 상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법안에 따르면 우선 국내 대학이나 ... ...
이공계 위기 그 진실은?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국내를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는
우리나라
의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한 기사가 지난 3월 15일 세계적인 과학전문지 '사인언스'에 실렸다. 문제의 심각성을 여실히 드러내는 증거다. 이공계 기피 현상이 나타난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는 이공계를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일까. 그 실체를 낱낱이 파헤쳐보자. ...
1. 이공계 기피 원인 지표 뒤집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연구원이 넘쳐나는 실정이다.선진국에선 쉽게 볼 수 있는 백발의 연구원과 엔지니어를
우리나라
연구소에선 찾아보기 어렵다. 우수한 학생/대학원생들은 외국 유학을 떠난 뒤 국내와 차이나는 그 곳의 연구 환경과 사회적 처우에 끌려 귀국을 포기하고 정착하고 있다.애써 길러낸 인재를 외국의 ... ...
엽기적인 X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내부를 들여다보고 싶어하는 인류의 욕망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항상 존재했다.
우리나라
의 허준 선생도 스승을 해부할 정도였으며, 서양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여성복부의 상세한 해부도를 그렸고, 16세기 벨기에의 해부학자 베살리우스는 해부하고 싶은 마음에 시체를 훔치기도 했다. 사실 ... ...
비슷비슷한 한옥지붕의 천태만상 표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대중을 교화하려는 목적에서 화려한 의장은 불가피한 선택으로 여겨졌다.우진각지붕은
우리나라
에서는 그 사용례를 드물게 볼 수 있는 지붕으로, 대개는 창고와 같은 부속시설의 지붕으로 사용됐다. 외견상 팔작지붕에 비해 위계가 떨어지고 맞배지붕의 엄숙미도 볼 수 없다. 하지만 국문(國門)의 ... ...
모르는 사실이 더 많은 이웃 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1호’를 발사할 예정이다. 중국은 무인뿐 아니라 유인 달착륙계획도 수립하고 있다.
우리나라
도 2005년 자력으로 위성발사에 성공해 기술발전이 계속 이뤄진다면 언젠가 달을 향해 도전할 것이다. 이때 탐사선의 달 도착일을 팔월 한가위로 하면 어떨까. 모든 국민이 보름달을 쳐다보는 가운데 우리의 ... ...
3 사이버 공간에서 특효 약물 디자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이유도 신약산업이 발달돼 있기 때문이다. 자원이 빈약하고 경제적 난국에 처해 있는
우리나라
가 변화의 시대 21세기를 맞아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길은 지식집약 산업인 신약 발굴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새로운 약을 만드는 일일 것이다 ... ...
과기부장관 인터뷰 이공계 진학 지금이 기회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우리나라
과학기술 분야의 살림을 책임지고 있는 과학기술부 장관은 이공계 기피 문제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청소년 과학교육 문제부터 과학기술인들의 처우 개선 문제까지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이공계 기피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일반인의 오해와 ... ...
이전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