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스페셜
"
단위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라돈사태 2년]가해자는 없고 피해자만 남았다
2020.01.12
토론 방사선 피폭 사건에 관한 백서’를 보면 라돈 농도가 1㎥당 100베크렐(Bq·방사능의
단위
)일 때 폐암 절대위험은 0.8% 늘어나는 것으로 나온다. 방사성 물질인 토론의 영향을 알 수 없다는 점도 문제다. 토론은 라돈의 방사성 동위원소로 반감기가 55.6초로 짧다. 라돈 침대 사태전만 ... ...
"한국 내 '입자 큰 PM10 미세먼지' 19%는 중국발 영향"
연합뉴스
l
2020.01.09
김문준 교수는 "다만, 입자가 작아 바람에 더 잘 날리는 초미세먼지에 대한 한국의 전국
단위
데이터가 2015년부터 수집된 탓에 이번 연구에서는 제외됐다"면서 "만약 초미세먼지까지 고려한다면, 한국 내 전체 미세먼지 발생에 미치는 중국발 기여도는 훨씬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 ...
QLED vs. OLED vs. 마이크로LED…CES는 디스플레이 기술 각축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탑재해 성능을 극대화했다. 8K 텔레비전은 4K 초고해상도(UHD) 텔레비전보다 빛을 내는
단위
입자(픽셀) 수가 4배 많은 3300만 개로 구성된 텔레비전이다. 이번 신제품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탑재해 사운드와 화질을 더욱 개선했다. 특히 원본 영상의 화질에 관계 없이 8K의 고화질로 변환하는 기술과, ...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무거울수록 가속도가 잘 붙는다는 말을 자주 하곤 한다. 그런데, 가속도가 크다는 말은
단위
시간당 속도의 변화가 크다는 말이다. 무거운 물체의 가속도가 가벼운 물체의 가속도보다 크면 어떻게 될까? 다시 갈릴레오 시절로 돌아가 무거운 물체와 가벼운 물체를 동시에 떨어드려 보자. 언론의 ... ...
골칫덩이 페트병, 의약·화장품 소재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글라이콜산으로 98.6% 전환시켰다. 이는 화학에서 분자의 수를 비교할 때 쓰는
단위
인 ‘몰(mole)’을 기준으로 비교한 것으로,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분자 100개를 유전자 변형 대장균이 먹고 카테콜 분자를 90.1개 내놓는다는 뜻이다. 주정찬 선임연구원은 전화 통화에서 “각각의 산물을 생산할 수 ... ...
가장 정교한 남극 빙하 밑 지형도 새로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제작됐다. 극지연구소 제공 한국을 포함한 국제공동연구팀이 남극 빙하 아래 땅을 500m
단위
로 정밀하게 볼 수 있는 남극대륙 지형도를 새롭게 제작했다. 서남극 지역이 기후변화에 취약하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 지역의 빙하가 기후변화로 물러나게 되면 빙하 붕괴를 멈출 수 ... ...
VR용 초고해상도 OLED, 유리 위엔 올릴 수 없다는 ‘고정관념’ 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많아야 생생한 화면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흔히 고해상도는 인치당 화소(PPI)라는
단위
로 평가한다. 4K 초고화질(UHD) TV는 100~200 PPI, 스마트폰은 500 PPI 수준이다. VR은 스마트폰의 4배인 1800~2000의 PPI가 필요하다. 기판에 따라 성능 좌우되는 OLED HMD에 도입될 화소 소재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층 더 상세하게 재현한 뇌 신경세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1
마치 땅 속에 파묻혀 있는 나무의 뿌리 같기도 하다. 신경세포는 신경계를 이루는 기본적
단위
세포로 뉴런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온몸의 기관들과 뇌를 연결하며 뇌에서는 약 1000억개에 달하는 신경세포들이 복잡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 이런 복잡한 네트워크 때문에 신경세포 연결성을 ... ...
전문연구요원 제도 개선안에 중소기업계 "환영" 학생들 "아쉽지만 납득"
2019.11.21
선방했다고 본다”며 “대학원생의 연구 시간이 각자 다른 만큼 복무관리 체계를 일일
단위
에서 주간으로 바꾼 것도 긍정적인 부분”이라고 말했다. 한 회장은 “아쉬운 건 박사 전문연구요원이 학위 취득 후 1년간 근무를 하도록 한 점”이라면서도 “이 제도가 형평성을 위해 마련됐고, 근무에 ... ...
노약자 행동 11만건 '돌봄로봇' 개발자들에게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9
개발할 수 있게 했다. 촬영을 통해 얻은 영상 이미지와 이를 통해 도출해 낸 관절
단위
움직임 분석하고 있다. ETRI 제공 이재연 책임연구원은 “노약자와 로봇이 상호작용하는 환경을 종합한 데이터를 공개했다”며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는 돌봄 로봇 기술 발전에 도움이 되면 좋겠다”고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