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
글월
문장
wall
한달
매월
다달
d라이브러리
"
월
"(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물고기들은 뇌와 중추신경계에 타격을 입는 등의 피해가 발생한답니다. 지난해 7
월
미국 애들레이드대학교 연구팀은 바다의 산성화가 전체 해양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산성도가 2100년 예측치와 비슷한 해양 생태계와 현재의 평균적인 해양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알아낸답니다. KMTNet은 2015년 운영을 시작한 후로 총 9개의 외계행성을 찾아냈어요. 지난 4
월
에는 지구로부터 1만 3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지구와 비슷한 질량의 외계행성을 발견하기도 했지요. # 외계행성에 대한 과학자들과 시민들의 노력이 정말 놀랍군! 앞으로 또 어떤 사냥꾼들이 등장할지 ... ...
[과학뉴스] 남극 대륙 빙붕, 60년 만에 18% 얇아져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빙하와 빙붕, 해빙의 두께를 수십 년간 관측해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6
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1950년대 이후 남극 대륙에서 약 3만 4000km2 면적에 해당하는 빙붕이 사라졌다. 또 남극 대륙 서쪽지역에서는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얼음이 줄어들었고, 그 결과 ... ...
[과학뉴스] 물총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여름이 시작되는 7
월
을 맞아 무더위를 시원하게 날려 줄 물총을 준비했습니다.7
월
7일부터 이틀간 서울 신촌에서는 ‘물총 축제’가 열리는데요. 올해로 6회째를 맞는 물총 축제 기간에는 신촌 일대가 조금 과장해서 ‘물바다’가 됩니다. 물총은 간단하게 짜는 방식부터 펌프나 전동장치를 이용한 ... ...
[과학뉴스] 하마 똥이 아프리카 하천 위협?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똥에 의한 하천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
월
14일자에 발표했다. 하마 똥은 수중 생물들의 에너지원이 되는 일종의 천연 비료다. 하지만 물의 양은 급격히 줄어든 반면, 하마가 물가에 배출하는 똥의 양은 줄지 않는 게 문제다. 키넌 스티어스 연구원팀은 ... ...
[과학뉴스] 광케이블로 지진 포착한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해저에 매설된 광케이블을 이용해 지진을 발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6
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지진파를 측정해 위치와 규모 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진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진의 특성과 지구 내부의 상태를 ... ...
[과학뉴스] 벽 뚫는 투시력, 노인 케어에 쓰일까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MS) 등 질병을 모니터링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6
월
18~22일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CVPR)’ 컨퍼런스에서 공개됐다 ... ...
백신 맞아도 걸리는 ‘돌파 감염’ 우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월
드컵 이후가 홍역 창궐의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러시아를 방문한
월
드컵 응원단이 현지에서 홍역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과 접촉한 뒤 귀국할 경우 지금보다 더 큰 규모로 홍역이 창궐할 수 있다. 인 연구사는 “홍역 환자가 발생할 경우 병원에서 재빨리 인지하고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2018년 4
월
25일, 피해자가 차가운 시신으로 발견된 지 9년 2개
월
만에 배수로에서 꺼낸 진실이다. 동물실험을 통해 숨겨져 있던 진실을 파헤치는 이 과정은 하나의 혁신이었다. 또한 변화이자 새로운 시작이었다. 지금부터는 피해자의 사망시각에 맞춰 용의자를 압축하고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세계에서 유일하게 암흑물질로 추정되는 신호를 확인했다고 주장하는 연구팀이다. 지난 4
월
에도 20년 치의 검출기 데이터를 해석해 유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결과만 보면 잘못된 신호라 보기 힘들지만, 다른 연구팀의 실험에서는 같은 신호가 재현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를 ... ...
이전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