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패러데이의 양초의 화학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강연의 내용을 한권의 책으로 정리한 것이다. 원제는 ‘The Chemical History of a Candle’로서
우리나라
에서는 ‘양초 한자루에 담긴 화학 이야기’(박택규 옮김, 1998)라는 제목으로 번역 출판된 바 있다.‘양초의 화학사’는 한자루의 양초를 통해서 화학의 기초 개념과 기본 물질들의 성질 및 화학적 ... ...
원자력에너지의 핵심 중성자 연구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떠올릴 수 있는 그림이다. 원자력에너지 이용의 한 분야인 원자력발전은 현재
우리나라
총 발전량의 43%를 차지하고 있을만큼 비중이 크다. 원자력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거대한 돔 안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중성자가 핵분열의 핵심적 역할모든 물질의 기본이 되는 원자는 중성자와 ... ...
2. 히딩크호 세계 장벽 넘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우리나라
팀이 월드컵의 세계수준에 비하면 부족한 점이 많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실제
우리나라
선수들의 기량은 어느 정도일까. 또 최근 세계무대에서 유행하는 축구전술은 무엇일까. 이를 통해 객관적으로 우리수준과 세계수준을 파악하고 어떻게 본선에 대비해야 할지 알아보자. 2002년 ... ...
상부상조하는 지혜의 동물 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중종마는 완전히 가축화됐다.포니는 어깨높이가 1백20cm 내외의 체구가 작은 말인데,
우리나라
유일의 재래마인 제주 조랑말이 여기에 속한다. 경종마는 어깨높이 1백50-1백70cm 정도로 크기가 중간급 말인데, 뛰어난 단거리 속력 덕분에 경주마로 인기높은 영국의 더러브렛종 등이 있다.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화약이 없던 시절에는 배에서 사용할 불씨를 지키는 것이 주방장의 첫번째 임무였다.
우리나라
의 배에도 ‘화장’이라고 해서 불씨를 지키는 임무를 가진 선원이 있었으며, 일부 지방에서는 선장의 아래 직급을 여전히 ‘화장’이라 부르고 있다. 식량을 구하자농사와 가축 사육 vs. 원시적인 수렵 ... ...
눈과 손으로 함께 '보는' 책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구성한 책이다. 아동도서 이외에는 이렇다할 입체북이 없는
우리나라
에 중·고등학생 이상의 일반인들이 볼 수 있는 입체북이 나왔다는 것은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시리즈의 첫 4권은 ‘밤하늘 저편에는’ ‘열대 우림’ ‘동물의 여행’ ‘인체’로 구성돼 있다. ... ...
1. 축구장에 숨어있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 잔디의 생육 최적온도는 15-25℃로 장마기간 중 고온다습한 기후를 제외하면
우리나라
봄·가을의 서늘한 기후에 적합하다. 또한 난지형 잔디에 비해 성장속도가 빠르고 빠이거나 떨어져 나갔을 때 회복 속도도 빨라 축구경기 등의 격렬한 운동에 알맞다. 무엇보다 줄기가 부드럽고 유연해 ... ...
6T - 메가톤급 산업혁명의 견인차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필요하다는 얘기다.6T 분야 모두에 대해 투자하는 것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
에서 IMF한파가 불어닥쳤을 때 유망하다고 해서 여러 분야에 뛰어들었던 문어발식 기업들이 무너지는 모습을 보았다. 6T에 대한 투자는 물론 그 타당성에 대한 검증이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는 조심스런 ... ...
토정비결 과학인가 재미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훨씬 많다. 실제 토정비결의 괘 종류는 모두 합해봐야 1백44가지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인구를 5천만명으로 잡으면 약 35만명에 가까운 사람이 해마다 같은 점괘를 갖는다는 얘기다.초등학교 시절의 생일파티를 생각해보자. 같은 달에 태어난 사람을 모아 합동으로 잔치를 여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하에 5개 부처가 중심이 돼 산하 연구소와 개별연구소별로 프로테옴연구를 진행중이다.
우리나라
는 2001년 7월에 한국인간프로테옴기구를 구성해 공동협력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한편 필자의 주창으로 지난 10월 1일에는 이들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을 한데 묶어 AOHUPO(Asian and Oceanian HUPO)를 결성했다 ... ...
이전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5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