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민코프스키의 강의를 필요한 만큼만 들었고 둘의 인연은 여기서 끝나는 듯 했다. 그런데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하자 민코프스키는 이를 기하학적인 4차원의 시공간 개념으로 봤다. 아인슈타인은 스승의 수학적인 재해석을 전해 듣고 어처구니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속에서 모든 것을 유심히 관찰하는 습관을 들여 보세요. 훌륭한 전시기획자로 성장하는 데 관찰력만큼 좋은 게 없답니다. 사실 저는 대학에서 의상 디자인을 전공했어요. 대학을 졸업하고 미술학원을 운영하면서 다른 미술학원에 없는 색다른 미술활동, 창의력 프로그램을 만들었죠. 대기업의 문화 ... ...
- PART6. 핵융합 선진국의 주역 케이스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필요하다.케이스타는 ‘미니 이터’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많은 면에서 닮았다. 그런데 뜻밖의 말을 들었다. 케이스타는 이터를 축소해 작은 규모로 실험하는 소극적인 장치가 아니라는 거다. 오히려 ‘이터 이후’를 준비하는 미래형 실험장치라는 뜻이다. 양 부장은 “케이스타는 처음부터 이터의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그리고 시계바늘을 중력으로 움직여 훗날 과학자가 된 머피에게 양자 중력방정식을 푸는 데 도움이 될 자료를 전달하고, 인류를 구한다. 송 연구원은 “실제로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을 통과해서 5차원 공간에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영화는 블랙홀의 극한성을 5차원 공간으로 들어가는 ... ...
- [과학뉴스] 청각만으로 길 못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한 것이다. 실험 결과 몸과 다리를 쓸 수 있게 한 집단만이 가상 복도의 중간에 몸을 두는 데 성공했다. 청각만으로 길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 생물학 온라인판 11월 11일 자에 발표됐다 ... ...
- [과학뉴스] “나 박쥔데, 시끄러워서 살 수가 있어야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발견했다. 박쥐가 내는 초음파의 주파수대에 따라 활동량에 차이가 나는지도 조사했는데, 주파수가 낮은(35kHz 미만) 박쥐 종의 70%가 활동량이 떨어졌다.연구팀은 또 채굴장 주변에서 박쥐가 내는 초음파가 달라지는지를 알아봤다. 놀랍게도 브라질 큰귀박쥐는 압축기가 있는 시끄러운 환경에서 ...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얻었다. 스스로 “여기 온 친구들 중 가장 성적이 안 좋은 편”이라며 위축된 상태였는데, 최영웅 박사와 윤병진 연구원을 만나고 나서 달라졌다. “성적보다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고, 목표를 세워 하나씩 실천하면 된다”는 말이 조 군의 가슴에 싹을 심어줬다.“제가 원래 생물과 환경을 ...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강 작가나 이충환, 전승민, 윤신영 같은 과학동아 기자들이 MID와 함께 일하게 된 데에는 이런 배경이 숨어있다. 과학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온 EBS PD들도 작가진에 합류했다.작가진이 탄탄해지면서, 과학자조차 깜짝 놀라게 하는 작품 나오기 시작했다. ‘멸종: 생명진화의 끝과 시작’이 대표적이다. ...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옆에 쭈그리고 앉는다.)줄리안: 퀸타르트(벨기에) 그나저나, 미국이 요즘 수상쩍던데.타일러: 네. 최근 몇 년은 미국 핵융합의 침체기였어요. 레이저 방식이 성과를 못 냈거든요. 하지만 지난 8월 말 미국 에너지국(DOE)이 프로젝트를 가동해 핵융합 연구를 지원하기로 했죠. 이터와는 다른 방식도 ... ...
- PART5. 핵융합의 난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자연과 싸워 이기는 방법(열 비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어느 정도 터득했다. 그런데 자연은 결코 만만치 않아서, 이번에는 새로운 카드로 연구자들을 괴롭히고 있다. 바로 고온과 저온의 영역이 잘 나뉘어 있는 플라스마를 난류 상태로 휘저어 버리는 현상이다. 이런 플라스마 난류는 마치 ... ...
이전5225235245255265275285295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