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현존하는 지상 최대의 동물인 코끼리는 이름처럼 코가 가장 긴 동물이지요. 코라고 부르지만, 사실 윗입술과 코가 합쳐진 기관입니다. 무려 15만 개의 근육으로 이뤄져 있어서 수백kg ... 건 그만큼 코끼리가 살기 어려웠다는 뜻일 테니까요. 지상에서 당할 자가 없는 코끼리인데 말이지요 ...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ISEE-3호는 다섯 번이나 지구와 달을 돌아 핼리혜성과 지아코비니-지너 혜성을 만나는 데 성공했다.다시 라그랑주점으로 돌아가고 싶어 하지만 ISEE-3호는 원래 위치인 라그랑주점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 동력이 그만큼 남지 않은 것이다. 임무를 마친 1986년부터는 태양 중력에 의해 지구 반대편으로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빈말이 아니다. 옛 그림에 나오는 것처럼 알을 잘 품고 볕이 좋은 날에는 병아리를 데리고 산책 다니길 즐긴다. 알을 잘 돌보지 않는 토착종과는 다른 모습이다. 관광지에서 흔히 보이는 토종닭은 재래닭이 아니다. 대부분이 농가에서 자체적으로 길러온 외래종이다. 물론 외래종이라 해도 닭의 경우 ...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잘 자고 있는 아이를 깨워 해열제를 복용시킨다고 답했다. 심지어 6%는 아이가 자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항문을 통해 좌약 형태의 해열제를 투여하고 있었다. 열이 나는 아이에게 부모가 가장 조치하기 쉬운 게 해열제 투여다 보니, 남용이 심한 것이다. 세균감염 위험 먼저 살펴야미국이나 영국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설치된 연세프로테옴연구원의 정슬기 박사도 유명 인사였다. C-HPP의 25개 연구 그룹 가운데 한국 연구 그룹은 3개다. 백 교수팀이 13번 염색체를 맡았으며, 유종신 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박사팀이 11번, 조제열 서울대 교수팀이 9번을 담당하고 있다. 이들이 연합하며 프로테옴 연구에서 한국의 힘을 ...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야기를 했다. “예전에는 외국에서 문화상품을 공짜로 우리에게 많이 줬어요. 그런데 세월이 흐르니까 이게 다 저작권이 되더군요.” 문화가 한 번 스며들면 그 뒤에는 알아서 찾게 된다. 번역판이 잘 팔리지 않는 미국에 과학만화 시리즈를 출판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문화상품은 계속 ... ...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반도체를 얻는 데 성공한다. 연구팀은 마침내 1992년 최초의 파란색 LED를 만드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아직 산업화에 한계가 있었다. 마그네슘이 문제였다. 정공 역할을 하는 마그네슘의 효율이 매우 낮고 비용도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마그네슘 불순물 때문에 품질도 좋지 않았다. 구박받던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것이다. 전자현미경으로는 볼 수 없었던 뉴런의 새로운 구조를 STED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데 최근 성공하기도 했다. 뇌과학의 신비를 풀어나가는 것도 이 분야의 중요한 연구 주제다. 초분해능 형광현미경은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는 말을 가장 잘 대변해주는 최첨단 과학 기술이다 ... ...
- EPILOGUE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새로 발견한 프로바이오틱스를 스페인 북동부 카탈로니아 지방의 전통 소시지를 만드는 데 적용했다. 자연 발효시켜 얻은 소시지는 저지방, 저염분이라 건강에도 좋았고, 심지어 맛도 훌륭했다. 다만 아직까지 관심을 보이는 식품업체는 없다고 한다.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꽤 걸릴 것 같다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Y 염색체는 여전히 몰락하고 있다는 것이다.적은 숫자의 유전자가 성을 결정하는 데 관여하고, Y 염색체의 가장 중요한 정보가 성을 결정하는 것이라면, Y 염색체는 궁극적으로 진화를 통해 소멸될 수도 있다. 다만 아직 Y 염색체에 있는 모든 유전자가 밝혀지지 않았다. 염색체에 숨어있는 부분에서 ... ...
이전5265275285295305315325335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