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
경작
양성
양식
교화
재배식물
식물
d라이브러리
"
재배
"(으)로 총 54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축산의 기초를 닦은 건국대 축산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문을 연 건국대학교 축산대학은 올해로 28주년을 맞았다.한국유일의 이 축산대학은 작물
재배
위주의 재래식 농법에서 과감하게 탈피하여 축산으로 우리나라 농업을 다양하게 일으켜 세우겠다는 목표로 출발했다.그 대학건물은 그동안 약 3천명의 축산전문 고급인력을 배출한 것이 대견한 듯 약간은 ... ...
아프리카의 비극-기아·AIDS·전쟁 끝없는 죽음의 대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수단에서 에티오피아 소말리에 이르는 지역에 최근 몇년동안 극심한 가뭄으로 농작물의
재배
가 거의 불가능하다. 현지주민들은 먹을것을 찾아 이곳 저곳 옮겨다니고 있으나 이들을 반길 곡창지대도 없고 수용할만한 시설도 빈약하다. 미국·유럽등지에서 보내오는 식량으로 난민의 일부가 ... ...
'겨울속의 봄'남해안의 꽃
재배
단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땅에서 계속
재배
할 수 없어 돌려가며 꽃종류를 바꾸는 윤작을 해야 한다. 카네이션의
재배
과정을 보면 보통 4월초까지 곁가지를 꺾어서 모래땅에 삽목한 뒤 가식을 거쳐 5~6월초에 정식을 하면 9월초부터 꽃이 피기 시작해 이듬해 5~6월까지 계속된다. 꽃은 한번 줄기를 자르면 3개월 후에나 다시 ... ...
세계의 대사막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응집하는 장치의 개발 등을 시도하고 있다. 소금기에 잘견디는 내염성(耐塩性)작물
재배
방법이나 품종개량도 추진되어 사막의 녹화가 일부 늘어나고 있다.그러나 이러한 사막의 개발에는 새로운 난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깊은 관정이 늘어나면서 지하수 자원의 고갈이 초래 되었다. 증발량이 많은 ... ...
PART 2 한강수계 총점검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어렵다.우리의 선조들은 지금으로부터 2천6백년전에 이미 쌀을 주식으로 삼았다. 쌀의
재배
에는 필수적으로 물이 필요하므로 한강변에 있어서는 그 당시부터 물을 농업용수로 이용해왔다. 현재한강유역에는 16만5천㏊의 논(畓)이 있고, 하루 3백60만t의 물을 농업용수로 이용하고있다.한강에는 약 ... ...
소련의 우주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결정생성 실험용 전기로 등을 들수 있다. 또 미니 온실도 있어 우주에서의 식물
재배
실험에도 힘을 기울인것 같다.샐류트 7은 1982년 4월에 발사된 이래 상당히 혹사 당해왔다. 1984년 10월 까지 7개팀, 연 19명의 우주비행사가 합계 약 6백일을 이 우주스테이션에서 지냈다.그뒤 샐류트 7은 무인(자동) ... ...
생약연구의 본산, 유전공학연구까지 서울대 생약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이어 유전 공학적 방법으로 대량 생산하게 되거나 성분합성으로 공업화되어 종래의
재배
생산 체계가 무너지게 되지 않느냐는 우려에 대해 연구성과를 실용화하는 것은 기업이나 전문업자가 할 일이라고 설명했다.생약연구소는 약학계나 제약업계등에 많은 인력을 배출했다. 대학원 과정이상의 ... ...
스타워즈와 기술혁명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전문가 시스템'으로 활용돼 의사에게는 환자의 병진단과 처방, 또 농부에게는 작물의
재배
, 재고처리, 품질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컴퓨터는 재래식 전쟁양상도 크게 바꿔놓게 된다. 운전사 없는 트럭과 로보트 병정이 컴퓨터의 조작으로 움직인다. 이것은 공상과학이 아니다. NOVA ... ...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동쪽 기슭은 강수량이 훨씬 적어 연간 6백~7백mm 정도다. 그러나 이런 상태가 목축업과 밀
재배
에 가장 알맞다는 것이다. 뉴질랜드는 이처럼 국토의 넓이와는 걸맞지 않게 웅대한 경관과 온화한 기후의 큰 혜택을 받고있다. 일찌기 이 섬에 이상향을 찾아 사람들이 몰려들었던것이 이상할 것이 없다. 1 ... ...
백두산의 희귀식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할미꽃을 연상케 한다. 북유럽과 북아메리카 각처의 식물원 또는 정원에서 관상용으로
재배
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큰금매화는 여름철에 노랑꽃이 피는 미나리아재비과 식물. 키가 50~60cm 가량 되는 초본식물로 우리나라의 평안북도와 함경북도에 나며 일본의 본주와 북해도에도 분포한다.황금빛의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