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뉴스
"
개체
"(으)로 총 1,074건 검색되었습니다.
벌새·딱정벌레 닮은 생체모방로봇 미래전 양상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그는 “군집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 소형 생체모방 로봇은 정보 수집에도 유리하고 여러
개체
가 임무수행을 하기 때문에 임무 성공가능성도 높아진다는 장점도 있다”고 덧붙였다. 왼쪽은 중국에서 개발한 도브드론이며 오른쪽은 미국에서 개발한 벌새 로봇이다. 중국 ... ...
지구온난화로 죽어가는 산호초 살리는 물고기들
연합뉴스
l
2019.12.03
산호초가 건강한 생태계로 기능하는 데 중요하다"면서 "이런 방식으로 주변에 물고기
개체
를 늘리는 것이 자연적인 산호 복원을 촉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엑시터대학 제공 동영상 화면 캡처] AIMS의 어류학자 마크 미칸 박사는 "죽은 산호초 주변에 물고기를 모은다고 해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품종을 교배해 원하는 특성을 지닌
개체
를 선별하면 게놈의 4분의 3이 재배 품종의 것인
개체
를 얻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세대를 거칠 때마다 도입된 품종의 게놈이 절반씩 희석되므로 6세대에서는 1%대(1/64)가 되고 8세대에는 1/256에 불과하다. 원하는 특성만 남은 사실상 재배종을 얻는 셈이다. 벼의 ... ...
아니, 너는 30년 전 멸종한 쥐사슴?
과학동아
l
2019.12.03
설치해 이 중 15곳에서 1881장의 사진을 얻었다. 조사팀은 확보한 사진을 분석해 쥐사슴
개체
수를 파악할 예정이다. 또한 불법 야생동물 포획용 올가미를 제거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앤드류 틸커 GWC 동아시아지역팀장은 “보전학자들과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노력해야 ... ...
틀린 그림 찾기? 다른 유전자 찾기!
과학동아
l
2019.12.02
000년 전에 끝난 마지막 빙하기 동안 흰물떼새의
개체
수는 증가한 반면, 흰얼굴물떼새의
개체
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물떼새의 서식지가 합쳐졌다가 분리됐는데(2차 접촉), 당시 집단 간 유전자 이동(흐름)이 일어났고 이후 지리적으로 격리되면서 닮았지만 유전적으로 다른 지금의 ... ...
DGIST, 인공지능 기업 ‘다비오’와 공동연구소 설립
동아사이언스
l
2019.11.30
분석 알고리즘 등 공동 연구 성과를 내기도 했다. 이 기술은 위성 및 항공 사진 내 특정
개체
를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이다. 현재 국내외 다양한 기업들과 협업 및 사업화를 진행중이다. 박경준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전공책임교수는 “이번에 개설한 인공지능랩은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기술 ... ...
대왕고래 심장♥소리 듣기 위한 몬터레이灣 해상 추격전
동아사이언스
l
2019.11.29
인간에게 수모를 겪었다. 20세기에 잡힌 대왕고래의 수는 35만 마리에 이른다. 최근 들어
개체
수가 회복되고 있지만 약 1만2000마리가 남는 것으로 추산된다. 골드보겐 교수는 “환경 변화에 취약한 대왕고래와 같은 멸종위기종의 특성을 연구하면 보존과 관리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 ...
[인류와 질병]인간이 겪는 최고의 고통, 출산은 어떻게 진화했나
2019.11.23
마라톤을 즐기는 초등학생은 좀처럼 찾기 어렵다.
개체
발달의 순서가 계통발달의 순서와 일치할 이유는 없지만, 아무튼 인간은 매달리기를 포기하고 달리기를 선택했다. 매달려 이동하는 일이 적어지면서 팔은 짧아지고 허리는 펴지고 다리는 길어졌다. 침팬지와 고릴라 ... ...
'r' 들어간 달에만 굴 먹는 지혜는 4천년 이전에 시작돼
연합뉴스
l
2019.11.22
굴이 5월부터 10월 사이에 산란기를 갖는데 여름철에 굴 채취를 피한 것은 굴의
개체
수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됐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수명이 1년 정도이고 성장패턴에 일관성이 있으며 산란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종(種)이 있다면 B.임프레사처럼 "시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실험동물 대안 제브라피쉬로 환경호르몬 뇌신경 교란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11.19
90% 이상 비슷한 담수어로 성체 크기가 3~4cm 정도로 작은데다 한번의 교배로 수백 마리의
개체
를 쉽게 확보할 수 있다”며 “제브라피쉬 치어를 이용한 실험이 설치류 동물실험과 비교해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 뿐만 아니라 동물실험 윤리문제에서도 자유롭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환경 분야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