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뉴스
"
개체
"(으)로 총 1,074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수컷 정자의 X 염색체를 망가뜨려, 암컷 자손을 낳지 못하도록 만든다. 또한 이
개체
가 낳은 수컷 역시 뉴클레이스 유전자를 물려받아 암컷을 낳지 못한다. 그 결과 집단 내 암컷이 점점 줄어든다. 2. 암컷 모기의 생식과 관련된 핵심 유전자를 망가뜨려 번식을 못하게 한다. 이는 암컷의 특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adoptive immunotherapy)이란 특정 항원을 인식하는 면역세포를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개체
에 넣어 면역력을 갖게 하는 치료법이다. 1990년대 연구자들은 HIV를 없애기 위해 입양면역요법을 시도했다. HIV에 감염된 세포 표면에 있는 바이러스 단백질 gp120(항원)을 인식하는 항원수용체의 유전자를 넣은 ... ...
인간 탓에 상어
개체
수 줄고 몸집도 작아져
연합뉴스
l
2019.08.08
또 하나의 사례"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형 해양 포식자, 특히 상어가 먹잇감의
개체
수를 조절하고 병들고 부상한 동물을 제거해 무리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등 해양생태계에서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독특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 ...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9.08.07
마르쿠스 크론포스트 미국 시카고대 생태및진화학부 교수팀은 실내에서 자란 제왕나비는 남쪽으로 이주하는 야생 제왕나비의 습성 ... 특성을 잃어버린 제왕나비가 겨울을 날 수 있는 따뜻한 서식지로 이동하지 못하면서
개체
수는 더욱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73/pnas.19046901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조성이 쓴맛에 대한 민감도와 관련돼 있다는 몇몇 연구결과가 있었지만 동일한
개체
에서 쓴맛에 한동안 노출된 전후 침단백질의 조성이 바뀐다는 결과는 처음이다. 그렇다면 침단백질은 어떻게 쓴맛 민감도에 영향을 주는 걸까. 지난해 연구자들은 침단백질이 고삭신경의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 ...
면역세포 공격 유도 단백질 '스팅' 암세포 주변 비정상적인 혈관도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전혀 반응이 없는 암에서도 스팅 작용제를 포함한 삼중 병용 치료를 할 경우 약 60%의
개체
에서 암이 완전 소실된다. 이는 스팅 작용제가 암 면역반응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암혈관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차의과대 제공 ... ...
실제 사자 세계에서는 '심바'와 '날라' 다시 만날 일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현재 아프리카의 8% 영역에서만 사는 신세로 전락했다. 특히 밀렵 등으로 사자의
개체
수가 크게 줄고 있다. 아프리카에는 현재 2만 마리의 사자가 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사자를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했다. IUCN에 따르면 아프리카 내 최소 29개국에서 사자가 이미 ... ...
모기 소리 줄어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내 강가 두 곳에 ha당 16만 마리의 모기를 풀었다. 2016, 2017년 두 차례 실험한 결과 모기
개체
수 감소율은 평균 94%에 달했다. 인간을 무는 비율은 96.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 교수는 “처음에는 실험의 효과를 의심했던 주민들의 반응도 좋아졌다”며 “주민의 실험 지지율은 실험 전 13%에서 실험 ... ...
지구물질 순환 비밀 간직한 해양 바이러스 실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설명했다. 연구팀은 서해 해수를 시료로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고세균의
개체
수를 증가시키는 방추사(레몬) 모양의 바이러스 형태를 확인했다. 해양 고세균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질소의 산화작용이 멈추고, 유기물이나 비타민 B12 등을 방출한다. 김 연구원은 "발견한 바이러스를 ... ...
호기심의 눈으로 지켜본 화산섬 제주…28~30일 '탐험대학 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7.01
제주돌핀센터로 향했다. 하 연구원은 제주남방큰돌고래가 어떤 동물인지, 여러 돌고래
개체
를 서로 어떻게 구분하는지 등에 대한 강연을 했다. 이어 청소년들에게 불편한 진실과 함께 질문을 던졌다. “요즘 돌고래 투어를 한다며 제트스키나 배를 타고 돌고래에 지나치게 가까이 접근하는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