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뉴스
"
변형
"(으)로 총 1,396건 검색되었습니다.
몸 움직임 따라 늘었다 줄었다…삼성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연합뉴스
l
2021.06.06
통합한 전자 피부를 부착했다. 전자 피부는 손목 움직임에 따른 피부의 최대
변형
정도인 30%까지 특성 저하가 없었고 1천회를 반복해 길이를 늘였을 때도 OLED 디스플레이와 광혈류 센서가 안정적으로 구동했다. 특히 광혈류 센서는 손목이 움직일 때를 기준으로 고정형 실리콘 센서보다 2.4배 ... ...
[과학게시판] 지질자원 데이터 활용 및 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바이오안전성 및 바이오산업 토론대회’를 연다고 1일 밝혔다. 올해 논제는 ‘유전자
변형
생물체(LMO)의 활용은 탄소중립 실현에 바람직한가’다. 참가 신청은 전국 고등학교 재학생 혹은 만 16~18세 청소년이면 누구나 2인 1팀을 이뤄서 할 수 있다. 참가를 원하면 25일 오후 2시까지 토론동영상과 토론 ... ...
[과학게시판] 우정사업본부, 멸종위기 바다거북 기념 우표 발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수 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과 서울대 생명과학부가 다음 달 9일 RNA
변형
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 심포지엄은 올해 1월 시작해 6회에 걸쳐 진행되는 ‘2021 IBS-SNU RNA 미니 심포지아’ 시리즈의 하나로 지금까지 총 세 차례 열렸으며, 이번이 4회째다. 이번 심포지엄은 군터 ... ...
美 제공 얀센 백신 100만 명 분, 예비군·민방위 대원 접종…다음달 10일 접종 개시
동아사이언스
l
2021.05.30
세포에 들어갈 수 있지만 감기 같은 질병은 일으키지 않도록 아데노바이러스를 조작해
변형
한 뒤 내부에 이중가닥 DNA로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항원 유전자를 집어 넣는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침팬지의 아데노바이러스(ChAdOx1)를 이용한 반면 얀센 백신은 아데노바이러스26(Ad26)을 이용한다는 ... ...
아스트라제네카·얀센 백신 희귀 혈전증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8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항원 유전자를
변형
된 아데노바이러스에 집어넣은 뒤 이를 인체에 투여해 체내에서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바이러스 벡터 방식의 백신이다. 이들 백신은 일반적인 백신의 부작용 외에도 몸 속에서 매우 드물게 혈전증을 유발하는 ... ...
차국헌 서울대 공대학장, 일본 고분자학회 ‘인터내셔널 어워드’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5.24
진행한다. 차 학장은 “산업 폐기물인 황 가루를 플라스틱처럼 가공이 가능하도록
변형
해 차세대 배터리 및 자율주행용 적외선 렌즈 제작 등 고부가가치 응용에 적용한 시도가 인정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소감을 밝혔다. 차국헌 학장은 서울대 화학공학부를 졸업하고 1989년 미국 ... ...
"프랑스 보르도에서 매우 희귀한 코로나19 변이 발견"
연합뉴스
l
2021.05.24
앞당기기로 했다. 이 변이 바이러스는 영국에서 처음 확인된 변이 바이러스가 추가로
변형
한 것으로 파악됐다.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강하다거나, 더 위험하다고 판단할 근거는 없다. 다만 병원에 입원해야 할 만큼 심각한 증세가 있는 감염자는 나타나지 않았다. 보건 당국의 역학 조사 ... ...
해외 연구 살펴보니 "코로나 백신 교차접종 부작용 빈도 증가·안전성 문제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5.21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항원 유전자를
변형
된 아데노 바이러스에 집어넣어 인체에 투여해 체내에서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바이러스 벡터 방식의 백신이라 방식이 다르다. 교차 접종은 서로 다른 제약사의 백신을 섞어 접종하는 것으로 변이 바이러스에 ... ...
자기장, 컴퓨터 메모리 전력으로 바꿔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7
바뀌면서 압력이 가해지면 전력을 만들어내는 소재다. 이 둘을 결합해 자왜소재의
변형
을 압전소재에 전달하면 외부 자기장을 전력으로 바꿀 수 있다. 히런 교수팀도 이 방법을 활용해 자기장을 전력으로 전환하는 효율을 기존보다 10배 높인 소재를 개발했다. 자왜소재는 보통 갈륨을 원료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활동에 대한 강의 ‘반격’
동아사이언스
l
2021.05.16
영양을 공급하고 비옥한 땅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지만 인간의 활동으로 예상치 못한
변형
이 일어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학자들은 전세계에서 일어나는 강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미시시피강이 형성하는 삼각주의 입구에서 약 500km 상류에 강줄기의 변화 지점을 설정해야 한다고 ... ...
이전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