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뉴스
"
변형
"(으)로 총 1,39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 세기 레이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좁은 공간에 압축해 순간적으로 내야 한다. 연구팀은 레이저 빔 왜곡을 보정하는 대구경
변형
거울과 빔을 효과적으로 모으는 대구경 비출 포물면 거울을 새롭게 제작했다. 그 결과 4PW 레이저 빔을 지름 1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 분의 1m) 공간에 모으는 데 성공해 기존 집속도를 2배 올렸다. 남 ... ...
‘트랜스포머 로버’로 달 뒷면에 1km 전파망원경 10일 만에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주력할 예정이다. 영하 178도에서 영상 127도까지 넘나드는 달의 극한 기후 조건에서
변형
이 일어나지 않아야 할 뿐만 아니라 가벼우면서도 그물망의 간격이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견고하기도 해야 한다. 연구팀은 앞으로 2년간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 ...
한없이 완벽에 가까운 천연 블루
과학동아
l
2021.05.06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화학과 교수팀은 적양배추의 안토시아닌을
변형
해 안정적인 파란색 천연염료를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4월 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e7871 연구팀은 안토시아닌 색소를 구성하는 분자 중 하나인 ‘P2’를 ... ...
또 드러난 코로나의 면역 회피, 인간의 RNA
변형
효소도 이용
연합뉴스
l
2021.05.04
바이러스보다 1천 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신종 코로나가 RNA의 화학적
변형
을 유도하는 인간의 효소를 이용해, 자기에게 이로운 단백질 생성을 늘리고 인체의 면역 반응은 떨어뜨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단백질 중에는 신종 코로나가 인간의 세포에 침입하는 데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혈전증 유발은 첨가제와 인간 단백질 반응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4.27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항원 유전자를
변형
된 아데노 바이러스에 집어넣어 인체에 투여해 체내에서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바이러스 벡터 방식의 백신이다. 리서치 스퀘어(Research Square)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는 제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혈관까지 볼 수 있다. 다만 두개골 화석 대다수는 조각나 있거나 화석화하는 과정에서
변형
되거나 손상됐기 때문에 디지털 복원기법을 동원해 원형을 재구성한 뒤 안에 담겨있었을 뇌의 형태를 추측했다. 그 결과 두개골에 따라 뇌 표면의 해상도가 제각각이다. 드마니시인 두개골 다섯 점(D1~5 ... ...
물속 나뭇잎처럼 자유롭게 헤엄치고 대피소 텐트도 뚝딱…종이접기 기술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1.04.26
조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로봇의 가장 큰 특징은 전체가 하나로 연결돼있고 재료의
변형
을 이용해 움직인다는 것”이라며 “여러 부품을 쓰는 대신 단일 부품을 써 가벼울 뿐 아니라 제작도 쉽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개발한 로봇에 기름 흡착 시트를 부여 수조 속에서 스스로 ... ...
[랩큐멘터리]암도 진단하고 유해가스도 탐지하는 새로운 코를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2
다양한 시험을 할 수 있을 만큼 크기를 줄여 구조물에 극한의 힘이 가해질 때 어떻게
변형
되는지 원리를 찾고 이를 응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딱딱한 소재 대신 말랑한 고분자 소재로, 대형 구조물 대신 장난감 같은 작은 시편으로, 실험뿐만 아니라 수학적 모델링 등 시뮬레이션을 병행해 ... ...
[랩큐멘터리]유전자 스위치 찾아 뇌의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미치는지 분석할 수 있다. 반대로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인간 인지활동을 인위적으로
변형
할 수 있기도 하다. 연구실의 대표적 성과도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DNA 내 조절 부위인 인핸서리보핵산(eRNA)를 세계 처음으로 찾아낸 것이다. eRNA는 유전자 발현과 상관관계가 큰 것으로 알려졌지만 ... ...
KAIST 코로나 중환자 치료용 이동형 음압병동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대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교수팀이 개발한 이동형 음압병동은 고급 의료 설비를 갖춘 음압 격리 시설로 신속하게
변형
하거나 개조해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됐다. 음압 프레임, 에어텐트, 기능 패널 등 각 모듈을 조합해 단시간 내 음압 병동이나 선별진료소를 구축할 수 있다. 소규모 장비와 인력만으로 관리·이송·설치가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