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수 없다면 아예 난자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같은 해 미국 코넬대 잔피에로 팔레르모
박사
는 다른 여성에게서 제공받은 난자에서 핵을 제거한 다음, 난자를 생산하지 못하는 여성의 체세포를 융합시켰다. 여기서 다시 절반의 염색체를 뽑아내 최종적으로 난자를 만들어냈다. 박세필 소장도 같은 ...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부분을 작동시키는데 관여하는 Per3 유전자가 그 주인공. 영국 서레이대 시아몬 아처
박사
팀은 올빼미족은 종달새족에 비해 이 유전자가 짧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하루주기 생체시계가 24시간보다 긴 수면지연증후군(DSPS) 환자를 조사한 결과 75%가 짧은 Per3 쌍을 갖고 있었다.결국 짧은 Per3을 갖고 있는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전압이 높아질수록 물방울이 퍼지는 것이었다. 마치 표면에 더 적셔지는 것처럼. 버지
박사
는 이 현상을 전기로 물을 적신다는 의미에서 ‘일렉트로웨팅’이라고 이름을 붙였다.이제는 낮은 전압뿐 아니라 수십V에서도 물방울의 표면모양을 맘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됐다. 전기로 표면장력을 제어할 ... ...
위성이 안전 착륙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운용해야 한다는 내용이다.한국항공우주연구소 비행제어연구실장인 김종철
박사
는 “국제민간항공기구의 권고사항을 따르지 않을 경우 항공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불리한 입장이 될 수도 있다” 고 말했다.1980년대부터 미국과 러시아가 각각 GPS와 GLONASS라는 위성 항행 시스템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 ...
여우야, 여우야, 살았니 죽었니?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보관, 학술용으로 이용할 방침” 이라고 밝혔다.국립공원관리공단의 한상훈
박사
는 “1997-2002년 환경부의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 야생여우가 살고 있는 흔적이 있다고 보고됐을 뿐 정확한 개체수는 밝혀진 바 없다” 고 말했다.프랑스 작가 생 떽쥐베리의 동화 ‘어린왕자’ 에서, 여우는 왕자에게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솜털 달린 씨앗 속에 감춰진, 우주처럼 다양하고 재미난 세상을 알았으면 했습니다.”이
박사
는 ‘광릉 숲에서 보내는 편지’ 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식물세밀화는 전문가들에게도 도움이 되겠지만 일반인들이 식물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식물을 사랑하게 되는데 좋은 안내자 역할을 하지 않을까 ... ...
과학 논문에 등장한 초현실주의 그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파커의 그림은 강의를 보는 사람들을 그림 위에 그대로 떠오르게 만든 것입니다. 터너
박사
는 아마도 칠판 위에 거울에서 빛이 어떻게 반사돼 사물의 형상이 떠오르는지를 설명하고 있었던 것일지도 모릅니다. 이 점에서 그림 자체가 하나의 광학 강의가 된 셈이죠.오랜만에 해부도 가득한 카페에서 ... ...
과학기술자 국회 진출 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출신으로 건설, 도시 분야의 예산낭비를 제대로 감시하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이학
박사
인 제 당선자는 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환경운동 시민단체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벌여왔다 ... ...
여자는 한달에 한번 예뻐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결과 51-59%의 남녀가 가임 기간인 배란기 여성의 사진을 지목했다.연구팀을 이끈 로버트
박사
는 “사람들이 매력을 판단하기 위해 사진에서 어떤 점을 추출했는지 아직까지 밝히지는 못했다” 면서 “피부 상태나 색깔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었을 것” 이라고 추측했다. 실제 연구에 따르면 여성은 ... ...
천장 달라붙는 거미 모방한 포스트잇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붙어있는 방식을 모방하는 것.독일 기술동물학 및 생체공학 연구소의 안토니오 카셀
박사
가 스위스 취리히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거미의 발을 면밀히 조사했다. 이를 통해 개미가 어떤 벽이든 잘 달라붙을 수 있는 이유가 분자간 힘인 반데르발스 힘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그 힘은 거미가 천장에 ... ...
이전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