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먹구름 많아지고 비는 안와 물부족 심각해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증발되는 수증기 양이 늘어나 비가 더많이 내릴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비트 라이퍼트
박사
연구팀은 “지구가 더워진다고 해서 강수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 고 주장한다.에어로졸은 구름 속에서 주변 수증기와 합쳐져 비를 내리게 하는 씨앗 역할을 한다. 그런데 화석연료 사용 ... ...
04. 유전자 부실하면 몸조심해 살아 남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건강에 가장 좋다” 고 덧붙였다.한편 미국 록펠러대 신경과학자인 사라 라이보비츠
박사
는 동물실험에서 자주 기름진 음식에 노출되면 점점 더 많은 지방을 원하도록 뇌가 변형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운동부족 역시 뇌의 체중조절 메커니즘에 혼란을 일으킨다.미국 위스콘신대 영양학 교수 데일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개체 수는 급감하게 된다. 이 때 일본이 우리나리 근해에서 잡은 고래의 수는 박구병
박사
의 ‘한반도연해포경사’ 에 따르면 모두 6천5백78마리에 달하며 이중 5천1백14마리가 지금은 사라져버린 참고래이고 1천3백06마리는 귀신고래였다고 한다.우리나라는 해방직후 상업적 고래잡이를 하기 ... ...
개성만점 별난 나무목재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쉽게 밝혀지지 못했다. 미국 테네시대 그리씨노 마이어
박사
와 콜롬비아대 로이드 버클
박사
연구팀은 나무와 스트라디바리우스와의 관계에 대한 재미있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기후와 우수한 음향을 만드는 나무 밀도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이들은 악기에 사용된 목재가 오랜기간 지속된 ... ...
여왕의 명령은 알에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것과는 다른 종류였다. 그리고 여왕개미의 몸에 묻어있는 것과 매우 비슷했다.리비히
박사
는 좀더 확실한 증거를 찾기 위해 두종류의 화합물을 다른 알에 묻혀보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일개미들은 여왕개미의 알이더라도 일개미의 알에 묻어있던 화학물질이 있는 경우 주저없이 파괴했다. 반대로 ... ...
소행성에 한국과학자 이름 붙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박사
와 이병철 연구원이 보현산천문대에서 지름 1.8m 망원경으로 발견한 것이다. 전
박사
는 “이들은 지름이 2-6km인 암석덩어리로 태양으로부터 3억5천만-5억km 떨어진 채 태양 주변을 돌고 있다”고 설명했다.문 연구원은 “소행성들의 이름을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문화재단이 공동으로 설립한 ... ...
수천종 미생물 게놈 한꺼번에 분석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성공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미국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의 질리언 밴필드
박사
팀은 캘리포니아주의 버려진 철광산에서 오수를 채취해 메타게놈을 분석했다. 여기서 서로 연관되는 유전자를 분리해 5종의 미생물 게놈을 다시 찾아냈다. 이 가운데 4종은 처음 발견되는 것이었다.미생물들은 ... ...
잠은 문제 해결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늘려주는 것이 잘못된 것일까. 연구팀은 미국 뉴저지주립대의 게오르기 부즈사키
박사
가 주장한 2단계 기억 모델로 상반된 실험결과를 설명했다.이 모델에 따르면 장기기억은 뇌 해마와 신피질 사이의 쌍방향 통신으로 형성된다. 깨어있을 때는 새롭게 획득된 지식이 해마로 전달돼 임시로 ... ...
퀴리부부, 라듐의 존재를 입증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발견하게 된다.이즈음 마리 퀴리는 베끄렐의 발견에 특히 흥미를 느껴 이를 자신의
박사
논문 주제로 삼기로 했다. 뢴트겐의 X선은 외부에서 에너지를 주입해야만 발생할 수 있는 반면, 베끄렐의 방사선은 이런 에너지 없이도 저절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마리 퀴리는 이런 현상이 어쩌면 ... ...
대중에게 다가서는 뇌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20일까지 전국 9개 도시에서 공개강연이 열렸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신희섭
박사
는 “뇌과학은 생물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과도 연결되는 융합적인 학문입니다. 그래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이 강연회가 더 의미있는 것입니다”라며 자부심을 나타냈다.뇌기능연구사업단장인 ... ...
이전
534
535
536
537
538
539
540
541
5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