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d라이브러리
"
저자
"(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꼼꼼히 계산하면 친환경 보인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비슷했다. 햄스터 2마리는 140m2로 PDP TV 1대와, 금붕어 1마리는 휴대전화 2대에 해당했다.
저자
는 사람들이 자동차나 전자제품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은 생각하면서 개나 고양이를 기르는 것과 환경의 관계는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지구 온난화가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애완동물도 잡아먹을 ... ...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초 ‘사이언스’에 크기와 배치가 태양계와 비슷한 외계행성계를 보고한 논문의 공동
저자
다. 11개국 69명의 연구자가 이름을 올린 이 논문에는 한 교수 외에도 한국천문연구원 광학부 박병곤 부장과 이충욱 박사도 참여했다.외계행성이란 지구나 목성 같은 태양계 행성처럼 다른 별에 속해 있는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년 이상 지속될 가능성도 있다고 과학자들은 전망한다.이를 바탕으로 ‘콘택트’의 원
저자
인 칼 세이건은 통신할 수 있는 지적 생명체가 사는 천체를 100만 개로 내다봤다. 반면 드레이크 자신은 그 숫자를 1만 개로 추산했다. ‘우주생명 이야기’에 따르면 별 100만 개에 외계인이 살 경우 일부 별은 ... ...
한 권으로 읽는 거대한 우주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결정론과, 모든 일은 자기의지로 일어난다는 자유의지론은 둘 다 일반적인 통념이었다.
저자
는 이런 통념을 완전히 뒤집으며 결정론과 자유의지론은 상반되지 않으며, 동물 가운데 인간만이 자유의지를 진화시켰다고 말한다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과학도가 갖춰야 할 자격과 조건은 뭘까. 서울대 공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인
저자
는 모든 발명과 기술 진보 과정에는 연구자가 있었음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는 이공계가 바로 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는 명제 아래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창의적인 연구자가 되기 위한 노하우를 전한다.식탁 위의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 책은 17세기 유럽의 지식인들 사이에서 이른바 ‘대박’이 났다. 현직 과학언론인인
저자
는 갈릴레오의 책에 담긴 핵심 대목을 친절하게 해설해준다. 낡은 과학과 새로운 과학의 대립 속에서 과학혁명의 생생한 현장감과 문학적 재미를 함께 맛볼 수 있다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나노렌즈의 초굴절 현상과 회절 한계 극복 사이에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논문의 공동 제1
저자
인 포스텍 화학과 박사과정 이주영 씨는 “초굴절 현상을 통해 렌즈 표면과 가까운 근접장 영역에서 초점이 형성돼 확대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며 “나노렌즈는 근접장 빛인 소멸파가 지닌 물체의 미세 ... ...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예부터 ‘치산치수(治山治水)’를 잘 해야 한다고 했다. 이 말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저자
는 미래에도 마찬가지일 거라고 강조한다. 이 책이 소개하는 물 관련 상식은 150여 가지나 된다. 그만큼 많이 알아야 한다는 얘기다. 환경오염과 식량위기,신산업 창출 같은 미래의 문제를 해결할 핵심 물질이 ... ...
하늘에서 내리는 생명수 ‘빗물’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인지과학기술, 우주공학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융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저자
는 이런 기술을 융합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세부 기술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새로운 부의 원천인 녹색융합 비즈니스를 창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
섬유 넣은 콘크리트로 ‘건축 빅뱅’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인장에 견디는 힘이 강해졌기 때문이다.이번에 상을 받은 논문의 공동
저자
가운데 주
저자
는 원광대 토목환경도시공학부 최경규 교수다. 그런데 최 교수와 박호근 교수의 인연이 흥미롭다. 1997년 서울대에 부임한 박 교수는 그동안 박사 4명을 키워냈다. 그 가운데 3명이 현재 교수다. 그리고 3명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