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d라이브러리
"
저자
"(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문학적 상상력으로 허수 정복하기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읽는 게 ‘수학선수’가 되는 지름길이 아닐까.배리 마주르미국 하버드대 수학 교수인
저자
는 1937년 뉴욕에서 태어났다. MIT를 거쳐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25세에 하버드대 교수가 됐다. 위상수학과 수론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겨 여러 차례 수상했으며 미 국립과학원(NAS) 회원이기도하다. ... ...
별을 그대 가슴에 안겨주는 천문학 에세이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설립한 대전시민천문대가 개관했을 때 가족들이 함께 찾아와 별 헤는 모습을 보며
저자
는 가슴이 뭉클했다고 한다. 천문대는 산꼭대기에 있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시내 한복판에 세워 누구나 부담 없이 별 보러 오는 문화를 만들고 싶다고 그는 말한다.잘못된 일본식 표현인 혹성 대신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미친 영향과 발전의 사회적 배경 등을 문화사 · 일반역사와 관련하여 서술하고 있다
저자
는 본 대학 조교수 · 교수 등을 역임하면서 우수한 자연과학사 관련서를 많이 썼는데, 그 중에서도 대표작이 이 《대자연과학사》이다혈전 등으로 인해 대정맥 내강(內腔)이 협착되어 각종 증상이 나타나는 ... ...
저작권 독립만세!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인터넷에서 2차로 가공하거나 자유로이 사용할 수 없다.사건 발생 뒤 취소당한 논문의
저자
를 포함한 40여 명의 물리학자들은 APS에 저작권 방침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 빌 언러 교수는 “(APS의 방침은) 현실을 무시한 정말 말도 안 되는 처사”라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재현되지 않는다며 자신의 이름을 빼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두 저널은 곤란하다며 교신
저자
인 김 교수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김 교수는 펄쩍 뛰며 실험에 전혀 문제가 없었다는 답을 보냈다.이런 와중에 지난 2월 12일 CGK의 김진환 사장은 KAIST의 고위인사를 찾아가 두 논문이 조작됐다고 제보했다.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합성법의 연구의 대략과 그 배후의 사상을 엿볼 수 있으며, 또한 나치스로부터 추방당한
저자
의 과학적 · 기술적 공헌과 당시의 사회적 · 경제적 배경이 서술되어 있다 자동제어 동작 방식의 하나 제어대상에 편차가 생길 때 대상을 일정한 속도로 조작하는 부동연속(不動連續) 동작 방식의 단속도 ... ...
즐거운 동물이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별로 주목받지 못했던 동물들의 행동을 세심히 들여다본
저자
의 관찰력과 동물에 대한 애정에 절로 감탄이 나온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적자생존이니 진화니 하는 통념 자체를 깨버리고 순전히 즐겁게 놀고 있는 동물들을 편견 없이 바라볼 수 있다. 적자생존이 아닌 낙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따라 연습하면 충분히 익힐 수 있는 일종의 ‘기술’이란 사실을 깨달았다. 이 책은
저자
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 글쓰기의 원칙을 정리한 일종의 매뉴얼이다.이 책에는 실험보고서,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연구계획서처럼 목적이나 대상에 따라 글쓰기 방법을 어떻게 달리해야 하는지 ... ...
머리카락 굵기도 유전자가 결정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EDAR 유전자가 머리카락의 두께를 결정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논문의 공동
저자
인 토카이의대 료스케 키무라 교수는 “고대인의 유골을 발굴했을 때 그가 어떤 인종인지 밝히는데 EDAR 유전자가 하나의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의 의미를 밝혔다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CNS 저널을 보면 거의 매주 줄기세포 논문 한두 편은 실려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저자
는 없지요.”김계성 교수의 지적대로 최근 미국과 일본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줄기세포 연구의 굵직한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미 국립보건원(NIH)과 국내 줄기세포 동향 조사 연구진이 선정한 2007년 상반기 줄기세포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