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자
석사
뉴스
"
석학
"(으)로 총 706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 빛낸 15대 산업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이끈 ‘2018년도 산업기술성과 15선’에 선정됐다. 산업기술성과는 1100여 명의 공학계
석학
과 산업계 리더들로 구성된 한국공학한림원이 매년 선정, 발표하고 있는 그해의 대표 기술들이다. 국민들에게 산업기술의 중요성을 알리고 최신 기술을 공유하고자 2006년부터 선정해 보고서를 발간하고 ... ...
몸은 죽고 뇌만 살아있다면… 온전한 인간으로 봐야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공동 의장을 맡은 캐런 로멀페인저 미국 에머리대 교수 역시 뇌신경윤리 분야 세계적
석학
으로 꼽힌다. 에머리대 신경윤리프로그램을 총괄하고 있다. 13일 학회 현장에서 만난 로멀페인저 교수는 “뇌신경 윤리를 마련하는 데 있어 첫 번째 기준은 무엇보다 개인의 존엄성과 자율성을 해치지 ... ...
박용근 교수 세계적 학술지에 "홀로그래피 현미경 활용방법" 리뷰 논문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분야의 전반적인 내용의 총정리를 부탁해 작성하는 논문이다. 30대의 젊은 과학자가
석학
들에게 부탁하는 리뷰 논문을 내는 건 이례적이다. . 박 교수는 지난 15년간 홀로그래피(가상현실) 현미경 기술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의·생명 분야 적용하는 연구를 해왔다. 박 교수는 이번 ... ...
한국 수학계도 36년만에 유리천장 깨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1990년부터 포스텍 교수로 연구 활동을 해왔다. 세계 최대 수학 학술단체인 미국수학회의
석학
회원(펠로)으로 ‘국제 정수론 저널’의 초대 국제편집위원에 선정됐으며, 한국여성수리과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이향숙 대한수학회장은 “학술상이 한 수학자가 평생에 걸쳐 쌓아온 연구 업적을 ... ...
[2018노벨상]"한국 노벨상 콤플렉스는 자신감 부재 산물" 연구재단 보고서 지적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2016년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마이클 코스털리츠 미국 브라운대 교수 겸 고등과학원
석학
교수 “한국의 노벨상 콤플렉스가 노이로제 수준에 이른다”는 지적을 내놨다. 보고서는 “그동안의 관련 연구들은 노벨과학상을 타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집중함으로써 노벨 과학상 수상이라는 ... ...
“이젠 시장이다”…초보기업 딱지 떼는 스타트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1
LS 사장, 김광현 창업진흥원장, 백경호 기술보증기금 이사 등 한국공학한림원 소속
석학
16명이 청중 평가단으로 참여해 유심히 발표에 귀를 기울였다. 발표 후엔 3분 동안 “안구건조증의 원인은 복합적인데 부작용은 없나” “국내 특허밖에 없는데 어떻게 진입장벽을 쌓을 생각인가” 같은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3관.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과학동아
l
2018.09.21
아들이기도 하다. 심 교수는 영화 ‘상의원’ 자문으로 참여한 전통 직조기술 분야의
석학
이다. 당시 영화 제작진은 옷감을 짜는 직기(織機)를 복원해 영화 촬영에 활용하기 위해 심 교수를 찾았다. 중국만 해도 화려한 무늬를 새긴 옷감을 직조하는 전통 문직기(紋織機)가 많이 남아 있지만 ... ...
‘슈퍼커패시터’ 권위자 로드니 루오프 UNIST 교수 노벨상 유력후보 뽑혀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로 부임했다. 그는 20년 이상 탄소 소재를 연구해온 세계적인
석학
으로 꼽힌다. 특히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같은 나노 크기 탄소 소재의 구조와 특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고성능 슈퍼커패시터를 개발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로드니 루오프 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는 ... ...
여름철 풍족한 물 지하수로 만들어 보관… 싱크홀-가뭄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7
이 밖에 포르투갈, 호주 등도 인공함양 기술이 발전했다. 인공함양 분야의 세계적
석학
인 피터 딜런 호주 웨스턴시드니대 교수는 “서호주 퍼스 지역에선 매년 풍수기 때 1400만 t의 물을 인공으로 함양하고 있다”면서 “인공함양 기술이 없으면 세계적으로는 100억 t에 달하는 수자원이 ... ...
반도체 외길… 연구년에도 후학 지도 “인재 양성 사명감에 준 상이라 믿어”
동아사이언스
l
2018.09.06
연구하고 있다”는 말을 여러 번 했다. 대한민국 수출의 약 20%를 담당하는 반도체 분야
석학
의 말로는 의외였다. 하지만 가장 밝은 곳에 가장 깊은 그늘도 있다는 말처럼, 적어도 지금 학계에서는 최신 유행하는 분야에 비해 반도체가 주목을 덜 받고 있는 게 사실이다. 많이 발전한 분야들이 그렇듯,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