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스페셜
"
반
"(으)로 총 598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반
대에 부딪쳤다. 츠바이크는 올해 사쿠라이상을 수상했다. - 미국물리학회 제공
반
면 츠바이크는 원자핵이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뤄진 것처럼 강입자도 작고 단단한 에이스(쿼크)로 이뤄져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겔만은 “멍청이들을 위한 콘크리트 벽돌 모델”이라고 깎아내렸다. ... ...
원전, 사람들 속에서 함께 소통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30
일회성 보상보다는 지속적으로 생활의 기
반
을 개선할 수 있는 경제구조에 더 긍정적인
반
응을 보인다. 이와 함께 미래지향적이고 긍정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한다면 원전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크게줄어들 것이다. ‘적은 비용으로 저공해 에너지를 쓸 수 있게 한다’와 같은 메시지가 좋은 예가 ... ...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전사인자 같은 단백질이 붙으면 전사가 일어난다. 따라서 전사를 억제하는 5mC와는
반
대로 6mA는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쁜꼬마선충에서도 빈도는 훨씬 낮지만(0.025%) 6mA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동안 존재여부가 논란이 된 초파리에서도 정밀한 분석 결과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2009년 신종플루가 지나가고 6년 만에 메르스가 왔듯이 또 언제 어떤 전염병이 한
반
도를 덮칠지 알 수 없다. 그럴 때마다 새로 등장한 병원체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우리는 늘 제자리걸음을 할 것이다. ‘미생물과 숙주의 상호관계’라는 좀 더 넓은 관점으로 사태를 바라봐야 한다는 카사데발 ... ...
무분별하게 자원 낭비한 나우루의 비극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19
우리가 누리는 풍요를 누리지 못할 것이란 뜻이다. 실제로 아마존 밀림은 산업화로 인해
반
이상이 사라져 버렸고, 석유 같은 화석 에너지의 고갈은 인류에게 최고의 관심사로 부각된 지 오래다. 그럼에도 인류가 이런 상황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고 현 문명을 즐기기만 한다면 자원의 고갈은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그린 고흐의 그림(붓터치만 봐도 광기가 느껴진다)은 최고의 예술작품으로 꼽히는
반
면 정신분열증을 앓는다는 사실이 밝혀진 내쉬는 교단에서 쫓겨나고 노벨상도 병에서 회복한 뒤에야 수여된 이유다. 그러고 보면 위대한 예술가보다 위대한 과학자들이 더 대단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2039년, 여름휴가는 화성으로?
KISTI
l
2015.05.19
사용한다는 점에서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데, 앞으로 화성의 기지 건설을 위한 화물 운
반
용으로 활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우주선 외에도 화성 탐사를 위해 NASA는 탐사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2012년에 큐리오시티를 착륙시킨 이후, 오는 2016년에는 ‘인사이트’라는 이름의 탐사로봇을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왼쪽)이 오늘날 널리 쓰이고 있다. 즉 세균/고세균/진핵생물이 각각 역(domain)을 차지한다.
반
면 최근 고세균의 한 그룹에서 진핵생물이 진화했다는 가설이 등장하면서 ‘2역 분류법’으로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근 ‘네이처’에 발표된 고세균 로키아케오타 발견은 2역 분류법을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P 대칭)이다. 또 다른 대칭으로, 우리가 아는 입자(그리고 암흑물질의 입자)에는
반
입자가 있고 이 둘이 정확하게 1:1로 대응한다는 대칭이 있다. 이 대칭은 켤레대칭(C 대칭)이라고 불린다. 당시의 화두는 두 대칭이 어떤 힘에서는 보존되지 않는다는 사실이었다. 약한 상호작용에서는 C와 P 대칭(CP ... ...
한빛원전의 하루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20
건물은 의외로 들어갈 일이 별로 없다. 직원들이 흔히 ’1차’라고 부르는 이 건물은 1년
반
에 한 번, 연료봉을 교체할 때만 출입 가능하다. 원자로가 있는 건물이다보니 방사선 수치가 높지만 평소에 통제하는데다 자그마치 다섯 겹의 방호체계로 둘러싸여 있어 외부로 방사성물질이 새어나오지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