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스페셜
"
반
"(으)로 총 595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육류 섭취 중단…장속 ‘건강 혁명’
채널A
l
2014.01.22
비만이지 않은 쪽으로 장내세균이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체중도 한 달
반
만에 3kg 감소했습니다. 지난 달 네이처에 실린 연구결과에 따르면 장내세균 작은 변화는 5일 만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비만감소 효과를 높이려면 개선한 식습관의 유지가 중요합니다. [인터뷰 : ... ...
[만화]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KISTI
l
2014.01.16
가운데 12시간은 침대에서 나머지 12시간은 소파에 붙어서 산다. 셋째, 하루 다섯 끼니는
반
드시 챙겨먹는다! 게으름의 극치를 보여주는 태연의 생활태도에 질린 아빠, 더 이상 참지 못하고 고함을 지른다. “언제까지 그렇게 게으르고 태만하고 나태한 삶을 영위할 것이야! 오늘부터 아침 6시에 ... ...
[채널A] 올해 우주기술 ‘풍성’…우리 힘으로 로켓 쏜다
채널A
l
2013.12.31
단장] 3:59 (엔진을) 일주일에 한번 (실험)했을 때 200회 가까이 하려면 3년
반
정도가 걸립니다.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한 거거든요. 2020년 달 탐사에 필요한 궤도선과 착륙선 개발도 함께 진행됩니다. [인터뷰: 피터 월든/NASA 에임스연구소 소장] 6:15 한국이 후발주자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한국이 달에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높아 망막변증(retinopathy)에 걸렸고 결국 시력을 잃었다. 그럼에도 애쉬는 꿋꿋하게 일
반
학교에 다녔고 1969년 스워스모어칼리지 철학과를 졸업했다. 명문대를 나왔음에도 취직이 되지 않자 처음으로 장애인 권리 문제에 대해 ‘눈’을 떴다. 1973년 컬럼비아대에서 사회복지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19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1963년 스위스 뤼슐리콘에 있는 IBM연구소에 들어가서는
반
강자성체를 연구했다.
반
강자성은 자성체가 특정 온도 밑에서 이웃한 원자의 자기모멘트가 서로 상쇄돼 전체적으로 자성이 없는 상태가 되는 성질이다. 1970년대 들어 로러는 물질의 표면구조로 관심을 옮겼는데, 막상 연구를 하려하자 ... ...
전통에서 발견하고 현재가 완성한 난방기술
KOITA
l
2013.12.10
라이트가 주목한 것은 보일러를 이용한 라디에이터 난방이었다. 라디에이터는 19세기 중
반
에 발명되어 유럽과 미국에서 크게 유행했다. 20세기 초엽이 되면 건물의 기본 난방장치는 라디에이터로 자리 잡았고 현재까지도 중요한 난방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라디에이터의 원리는 간단했다. 중앙의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학자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성공하기도 어렵고 전망도 비관적인 연구가 지원받기란 거의 불가능하니까요. 연구 초
반
에는 연구실을 유지하느라 억대의 빚을 지기도 했어요. 지금은 숨통이 트이기는 했지만 다른 연구자들도 여전히 어려운 환경에서 고군분투하는 경우가 많아요. 최소한 저와 함께 하는 연구자들만이라도 마음 ... ...
친환경의 키워드, 물과 바람
KOITA
l
2013.08.23
않았다. 그 결과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없는 상황에서 환기와 냉각에는 대책이 없는 ‘
반
쪽짜리 친환경’이다. 소재만 친환경이라고 저에너지 건물이 만들어지지는 않는다. 제대로 된 친환경 건축을 실현하려면 온갖 첨단기술을 무차별적으로 도입하기 이전에 대량의 에너지를 양껏 사용하기 ... ...
지금은 규석기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3.08.19
투명하면서도 휘어지는
반
도체를 개발하는 데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반
도체가 개발되면 옷이나 시계처럼 착용이 가능한 컴퓨터(wearable computer)를 만들 수 있다. 평면 세계에서 곡면 세계로 진입하는 웨어러블 컴퓨터가 상용화되는 그때는 시커먼 돌덩이(규소, silicon) 세상인 규석기 시대를 ... ...
그 많은 우유는 누가 다 먹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한 사람이 젖당분해효소지속성을 갖고 있다고 한다. 글을 보면 젖당불내증일 경우 우유
반
파인트(pint, 1파인트는 0.57리터), 즉 300밀리리터 정도를 마시면 설사를 비롯한 증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그런데 왠지 이 정도는 좀 애매할 것 같고 한 500밀리리터 정도는 마셔야 확실할 것 같다. 우유 먹고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