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같은 불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돌파구라고 그들은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1999년 9월
우리나라
에서 개최된 생명복제에 대한 시민합의회의(과학동아 1999년 10월호 참조)에서 인간 배아(정자와 난자가 수정한 후의 생명체)의 복제마저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연구자들은 곤경에 처했다. 현재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것, 다시 말해 지구의 자전을 쉽게 느낄 수 있다.위도에 따라 일주운동은 조금씩 다르다.
우리나라
와 같은 중위도 지방에서는 동쪽에서 오른쪽 위로 비스듬히 별이 떠올라 남쪽에서는 원만한 원을 그리며 지나가 서쪽에 이르면 오른쪽 아래로 비스듬히 떨어진다. 적도 지방에서 별은 지평선과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토끼수치예보모델에도 전 지구를 다루는 것과 동북 아시아를 대상으로 하는 지역모델,
우리나라
를 중심으로 하는 국지모델로 종류가 나뉜다. 특히 5일 이상의 날씨를 예측하려면 지구 반대편의 기상상태를 알고 있어야 한다. 서에서 동으로 전파하는 고층 대기의 속도가 하루 평균 3천km에 이르기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토네이도가 1백17명의 승객을 실은 83t의 객차를 들어올릴 수 있었던 것도 그러한 이유다.
우리나라
에서 토네이도를 보기란 거의 어렵지만 1960년대 초에 ‘서울토네이도’라는 것이 뚝섬에서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 또 조선왕조실록에 ‘하늘에서 물고기가 떨어졌다’고 하는 것도 바다 위에서 ... ...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가이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계산하는 극대 예보는 변수가 너무 많아 정확도가 그다지 높지 않다.몇몇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시각으로 17일 밤-18일 아침에 극대가 올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또 모혜성이 지구 궤도와 교차한 직후 2-3년 안에는, 유성우가 나타날 확률이 해마다 비슷하다고 알려지고 있다. 지난해 모혜성이 지나간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음악을 즐기는 오이최근에는 식물들이 음악을 즐기기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우리나라
에서 이 분야의 개척자는 그린음악 농법을 만든 농촌진흥청의 이완주 부장이다. 그는 90년대 초반부터 꾸준한 연구를 통해 부드럽고 잔잔한 음악을 듣고 자란 미나리, 오이, 토마토 등의 소출이 월등히 ... ...
속담 속의 날씨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들어오는 현상이다. 아침에는 태양이 동쪽에 있으므로 무지개는 서쪽 하늘에 보인다.
우리나라
는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므로 시간이 지나면 서쪽 지역의 날씨가 동쪽에 나타난다. 즉 서쪽에 물방울이 많이 있으므로 오후쯤엔 비가 올 것이라는 말이다.②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온다날씨가 ... ...
4.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1백50년 간은 그대로 대기 중에 머물것이라고 한다.엘니뇨는 신기록 제조기근래
우리나라
에 상당한 강도와 빈도로 닥친 집중 호우들의 원인을 엘니뇨에서 찾으려는 경향이 있다. 더 나아가 최근 20년동안 관측된 엘니뇨 현상들의 이상 징후를 지구 온난화에서 찾으려 하는데 이는 맞는 말이다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진활동이 급격히 증가했다는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우리나라
의 경우에도 90년대 들어 지진 발생횟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90년대 들어 관측망의 확충으로 크기가 작은 지진까지 관측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 규모 2.0-4.0의 미진들이기 때문에 단순히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흘러가는 장소에 자리잡고 있다. 또 천구의 북극에 가까워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지 않아
우리나라
에서는 1년 내내 볼 수 있다. 봄에는 북쪽 지평선 위에서 W자 모양으로 가을엔 천정 부근에서 M자 모양으로 걸려있는데, 북두칠성과 같이 북극성을 찾아주는 길잡이 별자리이기도 하다.하늘 높이 걸린 ... ...
이전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