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서"(으)로 총 1,800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정도는 각각 4점, 2점, 1점 정도였는데 배측전방대상피질에서 나타난 반응의 크기도 같은 순서였다. 자신과 관련 없는 분야에서 잘나가거나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을 때보다 자기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친구의 이야기를 들을 때 그리고 이때 뇌에 나타나는 반응은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나오는 건 아니니까요.이선민 망망대해에서 작은 물고기를 잡는 심정이시겠네요. 어떤 순서로 그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나요?전병곤 처리 방식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일단 크게 분류한 뒤 처리하는 배치 처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스트림(stream) 처리, 필요할 때마다 질문하면서 분석하는 ...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이런 문화를 제도화시켜 강제하는 게 저자 사전 등록제다. 연구기획단계에서 저자의 순서와 역할을 국가기관에 등록한다.정부기관에 저자등록을 하면 공식적인 기록이 남는다. 논문출판 단계에서 엉뚱한 사람을 저자로 끼워 넣으려고 해도 일일이 사유를 적어야 해 쉽지 않다. 부정행위자에게 ... ...
- 카레이서 ‘ 차타니 막달리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모습을 따라가야 한답니다. 슝~!”미션4 트로피를 완성하라!간신히 표지판을 알아맞히고 순서대로 코너를 돌아 가장 먼저 결승점에 들어온 썰렁홈즈. 기진맥진한 가운데 우승했다는 기쁨이 밀려오는 그 순간!“축하합니다! 가장 먼저 결승점에 들어오셨군요. 그런데 어쩌죠? 글쎄 세워 둔 우승 ...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이 수학모형을 적용했어. 이 그림에는 여섯 사람이 나오는데 왼쪽부터 오른쪽까지 1~6번 순서로 각각 분석했지. 그 결과 1~3번은 페루지노의 그림 스타일을 나타내는 구 안에 포함됐지만, 4, 5, 6번은 구 바깥에 있었어. 심지어 세 점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었지. 파리드 교수는 1~3번 얼굴은 화가 본인이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역학 관계가 변하며 천왕성과 해왕성이 태양계 바깥쪽으로 날아가 버렸고 둘의 운명(순서)도 바뀌었다. 현재 ‘니스 모델’이라고 불리는 태양계 형성 가설이다.그래서일까. 해왕성은 천왕성과 유사한 점이 많다. 맨틀이 ‘얼음’ 형태의 가스형 행성이고 푸른빛을 띤다. 이런 색깔은 대기 중 미량의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어떤 가게 주인이 매상을 정리할 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돈이 들어온 순서대로 동전이든 지폐든 마구잡이로 세는 방법이다. 이는 주어진 구간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지나가면서 만나는 함수 값을 다 더하는 리만 적분과 같다. 또 다른 방법은 1000원짜리 12장, 1만 원짜리 20장, 5만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밀도가 낮은 가스형 행성은 태양에서 먼 곳에 있다. 하지만 외계행성계에서는 이런 순서가 뒤죽박죽이어서 목성형 행성처럼 덩치가 큰 가스형 행성이 모항성에 가장 근접해있는 경우도 많다. 중심별의 자전 방향과 반대로 공전하는 행성도 있고, 찌그러진 궤도로 중심별을 돌고 있는 행성도 많다 ...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전개도가 인쇄된 종이를 세로로 길게 반으로 접고, 산 접기, 계곡 접기에 따라 차곡차곡 순서대로 포개 접는다. 이때 아이비 잎사귀의 외곽선(굵은 검정선)이 한 직선 위에 포개져야 제대로 접은 것!➍ 포개진 선을 한 번에 자른 뒤, 다시 종이를 펼친다.➎ 펼치면 아이비 잎사귀 완성!] ‘접어서 한 ...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뒤 그 다음 발을 딛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4분의 1이다. 즉 일정한 박자에 따라 일정한 순서대로 걷는 셈이다.이 수학 모형으로 곤충이나 지네, 사람의 걸음걸이도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점은 다리 개수다. 예를 들어 곤충은 다리가 여섯 개이기 때문에 척추 신경세포망에 회로가 총 12개 있다.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