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15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속 3D프린팅 부품 기공·갈라짐 줄이는 합금분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입자 주변으로 분말이 응고되면서 크랙과 기공이 덜 발생한다. 박형기 수석연구원은 "
나노
입자 일체형 티타늄 분말은 다양한 산업의 티타늄 부품에 적용 가능해 금속 3D프린팅 세계시장 선점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해당 소재는 현재 해외 기업에서 항공용 부품 소재로 적합한지 알아보는 ... ...
[과기원NOW] GIST, 순록 눈 영감 받은 광필터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물체를 일정한 색으로 볼 수 있는 색상 보정 능력을 갖는다. 연구팀은 필터에 금속
나노
입자와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고분자가 혼합된 구조체를 사용해 전기 신호에 따라 색을 변조할 수 있는 능동 광 제어 기능을 부여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카메라 이미지 기반으로 물체를 인지하는 객체 인지 ... ...
스마트폰 인덕션 렌즈 사라질까…'메타렌즈' 대량생산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NA)가 0.53으로 높았다. 연구진은 또 몰드를 이용해
나노
구조체를 찍어낼 수 있는 ‘
나노
임프린팅 공정’을 이용했다. 메타렌즈를 하나씩 생산하던 기존 공정의 한계를 극복해 렌즈 제작 비용을 최대 1000배 줄일 수 있다. 노준석 교수는 “센티미터(cm) 크기의 고성능 메타렌즈를 웨이퍼 단위로 ... ...
글로벌R&D 강화 본격화…범부처 컨트롤타워 출범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교수는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자
나노
과학기술 분야 세계적 연구자로 세계적 저널인
나노
레터스의 부편집장이다. 민상기 미국 위스콘신대 교수는 미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T)에 참여해 정책을 수립하는 등 국제협력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다. 차미영 KAIST 교수는 기초과학연구원(IBS) ... ...
"적색광으로 당뇨 환자 식후 혈당 떨어뜨린다"
연합뉴스
l
2024.02.23
대학 응용 시각 연구센터의 미하엘 파우너 박사 연구팀은 식전에 파장 670nm(
나노
미터)의 적색광에 노출하면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뉴스 메디컬 라이프 사이언스가 22일 보도했다. 건강한 사람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 ...
'빛 회절 난제' 극복한 광 디스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3
극복했다. 1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의 간격으로 100층의 기록판을 쌓아 올린 뒤 54
나노
미터로 정보를 입력했다. 정보를 처리하는 데 빛을 활용하기 위해 빛을 응집시켜 정보를 처리하도록 했다. 이렇게 개발된 광 디스크 메모리는 페타바이트 수준의 메모리를 저장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 ...
[과기원NOW] 포스텍·경북대, 항생제 방출하는 임플란트 코팅 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2
도핑한
나노
입자를 합성하고 음극선 발광 검출 기법을 적용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
온도계는 미세한 시료의 열역학적 특징을 분석해 첨단소재 개발 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감싼 칼슘 금속 음극재를 중심에 두고 그 바깥에 젤 형태인 전해질이 그 바깥에 탄소
나노
튜브가 양극재의 골격을 이루고 있는 구조다. 이 실을 짜서 천 형태로 만든 배터리는 용량이 커져 휴대전화를 충전할 수 있을 정도다. 웨어러블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는 말이다. 배터리의 기본 특성은 전하 ... ...
나노
물질 인체 독성, ‘인공장기’ 오가노이드로 검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2.2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연구진이 암시야 현미경 장비를 이용해 돔형 세포외기질의
나노
물질 투과도를 관찰하고 있다. 표준연 제공 국내 ... 커지는 시점에 병원과의 융합협력연구를 통해 세계 최초로 오가노이드 기반의 정확한
나노
물질 안전성 평가기술을 개발하게 되어 뜻깊다”고 말했다 ... ...
빨아 쓸 수 있는 OLED 전자섬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0
다중 장벽 필름을 제작해 가스확산장벽과 자외선 필터 역할을 동시에 부여했다.
나노
층화 기반 분산 브래그 반사경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두 개의 물질이 반복 적층된 다층 구조이며, 가스확산장벽은 두 개의 금속이 적층됐을 때 서로 손상되는 것을 막는 장벽을 의미한다. 연구팀이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