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1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인력 투입 없이 태양전지 먼지 제거 기술 나왔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기술로 무기
나노
입자를 링커 이온이 녹아있는 용액 수조에서 프린팅해 분산된 무기
나노
입자 간 다중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입자들은 빠르게 고형화돼 구조를 유지했다. 연구팀은 입자 간 상호작용을 조절해 10μm(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무기 다공성 구조를 제작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는 ... ...
[과기원NOW] 포스텍,100배 저렴한 센서로 자율주행차 대중화 이끈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결합 파트너 사이의 상호작용을 보다 관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이탄소
나노
튜브를 이용해 세로토닌 및 도파민 저분자체와 상호작용하는 압타머의 네 가지 상태의 구조적 전환을 포착했다. 압타머-리간드 분자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밝혀낸 건 이번이 처음이다. ... ...
양자점 태양전지 효율 18.1% 달성…"세계 최고 효율"
동아사이언스
l
2024.01.28
NREL)에서 공인한 양자점 태양전지 중 세계 최고 효율"이라고 설명했다. 양자점은 수십
나노
미터(nm)의 매우 작은 반도체 결정이다. 입자의 크기에 따라 광전기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은 특히 용매에 뿌리거나 바르는 간단한 공정을 통해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어 차세대 ... ...
'젤리' 입자로 1000km 달리는 전기차 가능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인한 내부 응력을 분산시키면서 부피 팽창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나노
실리콘 음극재에 비해 100배 큰 마이크로 실리콘 입자(5μm)를 사용했음에도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졌다. 액체 전해질을 사용한 기존 전지와 유사한 이온 전도도를 보이면서도 에너지 밀도는 약 40% 향상됐다. ... ...
선거의 계절 딥페이크 판별 등 AI가 불러온 혁신의 물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중요하다. 홍콩중문대는 패턴화된 2D 광시트로 프린팅 속도를 1000배 향상시켰다. 금속
나노
구조물 제조 및 비용 절감 등 한계에 대한 도전도 이어질 전망이다 ... ...
천진우 IBS 단장, 훔볼트 연구상 수상…정밀
나노
의학 확립 공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5
큰 행운이었다”며 “IBS와 연세대의 지원에 감사하며 훔볼트 연구상을 받게 된 것은
나노
의학을 국제적으로 선도하라는 격려의 뜻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 ...
[과기원NOW] KAIST, 이브자리와 수면 과학 연구 협력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측정과 더불어 물질의 상태까지 초고분해능으로 실시간 능동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
나노
능동제어 플랫폼’을 제시했다는 설명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나노
레터스'에 지난달 20일 게재됐다 ... ...
[과기원NOW] 땀·털·각질 영향 덜 받는 ‘웨어러블 로봇’ 등장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A)고품질 전기생리신호 측정이 가능한 신축·접착성 마이크로니들 센서 개념도, (B)피부의 신축에 따라 동적으로 순응하는 신축·접착성 마이크로니들 ... 촉매 활성을 떨어뜨리는 코크 생성도 막았다. 연구팀은 안정적이고 기능적인 2차원
나노
소재 개발의 새로운 길이 열렸다고 평가했다 ... ...
[사이언스게시판] IBS 양자
나노
과학연구단 ‘큐비트 미술공모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제공 ■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양자
나노
과학연구단이 양자컴퓨터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큐비트 미술공모전’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2019년부터 미술공모전을 개최해온 연구단의 이번 공모전 주제는 양자컴퓨터 기본 단위인 ‘큐비트’다. 큐비트는 양자컴퓨터의 핵심기술이자 ... ...
국내 첫 유전자가위 영상화…"체내 이동·효과 즉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1.23
활용했다. 이 유전자 가위와 지르코늄-89를 합성한 후 체내에서 잘 전달되도록 지질
나노
입자로 둘러싸 캡슐화해 정맥주사로 간에 전달했다. 이 과정을 양전자단층촬영(PET) 영상으로 확인하면 유전자 가위의 작용 여부를 알 수 있다. 박정훈 실장은 “앞으로도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와 바이오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