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에서 자기장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점차로 줄어 반대 극성으로 바뀌는 현상이다. 영국 지질조사팀의 데이비드 케리지
박사
는 지구 자기장의 세기가 1백년에 5% 정도 감소한다는 점을 명백하게 발견했다고 주장한다. 자기장 세기의 이런 감소는 곧 지자기 역전이 시작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증거라는 얘기이다. 그렇다면 영화 속의 ... ...
5mm 톡토기에서 진화를 추적하는 생물학자 이병훈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교수는 프랑스에 머문 1년 9개월 간 24종의 톡토기 신종을 찾아냈다. 한국으로 돌아와
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 1975년 전북대 사범대 생물교육과 교수로 임용됐다. 이후 그의 계통분류 연구는 외형을 기반한 연구에서 점점 DNA 영역까지 확대해나갔다. 후배 교수는 이를 두고 “톡토기로 톡톡히 연구 ... ...
남녀의 두뇌 차이 유전자가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그러나 핀치의 뇌 전체는 생체에서 만들어진 성호르몬의 영향을 똑같이 받는다. 윙필드
박사
는 “핀치의 뇌 차이는 염색체 차이로 인한 유전자의 영향을 받은 신경세포 자체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햇빛으로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모아 종이를 태워본 기억은 누구나 갖고 있을 것이다. 이스라엘 벤구리온대 제프리 고든
박사
연구팀은 햇빛이 수술용 레이저를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저널 오브 어플라이드 피직스’ 4월 1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광섬유를 통과한 햇빛을 닭의 간에서 떼어낸 조직에 3백60초 동안 ... ...
인간형 로봇으로 후끈 달아오른 일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텐마
박사
는 로봇을 서커스단에 팔아넘긴다. 갖은 고생을 하던 로봇은 오차노미즈
박사
를 만나 자유의 몸이 된다. 그 후 로봇은 10만 마력의 파워를 가진 영웅으로 다시 태어나 인류의 평화를 위해 싸운다.TV로 방영돼 우리에게도 친숙한 만화 ‘우주소년 아톰’의 줄거리다. 아톰은 일본 만화의 ... ...
로켓 원리 밝힌 치올코프스키 논문 1백주년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년마다 우주비행에 지대한 공헌을 한 사람에게 이 상을 수여하고 있다. 미국의 칼 세이건
박사
또한 이 상을 받은 바 있다.최근 이온로켓 아이디어 실현돼오늘날의 관점에서도 치올코프스키의 구상은 놀라운 것이었다. 최초의 비행기가 비틀거리며 날아올랐을 무렵에 그의 연구주제는 우주여행의 ... ...
저항없는 꿈의 전력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중고등학교 과학시간. 과학실의 테이블 위에는 실험도구들이 가지런히 놓여있다. 과학실험의 단골손님 중 하나가 바로 전선. 전선을 만드는 재료는 잘 ... 꿈이 이뤄졌다고 말할 수 있다” 고 답했다. 현재 염 교수의 연구실은
박사
후연구원 1명,
박사
과정 4명, 석사과정 3명으로 구성돼 있다 ... ...
사스 정체 둘러싼 미스터리 3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홍콩 프린트 오브 웨일즈 병원의 바이러스 담당자인 존 탬
박사
는 53명의 사스환자들 가운데 25명에서 메타뉴모바이러스(metapneumovirus)라는 호흡기 질환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독일과 캐나다에서도 같은 바이러스가 환자들에서 검출된 바 있다.메타뉴모바이러스는 ... ...
우주비행사 되는데 자연과학자 유리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과학의 달 4월 일본 최초의 우주비행사 모리 마모루(毛利衛, 55)
박사
가 한국과학문화재단의 초청으로 우리나라를 찾아왔다. 현재 일본 과학미래관 관장이기도 한 모 ... 2월 초 발생한 컬럼비아호 폭발사고에도 불구하고 인류가 계속 우주비행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모리
박사
의 답변이다 ... ...
검은 고양이는 행운의 상징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세포막으로 들어오는 것도 막게 되는 것입니다.이번 연구를 이끈 스태픈 오브라이언
박사
는 “진화 과정에서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질병에 내성을 보였기 때문에 선택된 것이지, 기존에 생각되던 것처럼 검은 털 색깔이 몸을 숨기기에 좋아서 선택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습니다 ... ...
이전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