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정밀유도폭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1,600t 그리스 신화의 여신〈Galateia〉에서 따온 이름 1950~52년 코펜하겐 대학의 안톤 브룬
박사
를 단장으로 하는 광범위한 심해생물탐사(深海生物探査)에 이용되었다에쿠아도르의 서해안에서 서쪽으로 약 1000km 떨어진 동남 태평양 상에 적도를 끼고 점재(點在)하는 화산도군(火山島群)〈진화론의 ... ...
생체시계 바늘역할 효소 찾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12시간 주기로 밤낮을 구분하는데 이 효소가 고장난 쥐는 밤낮을 구별하지 못했다.신
박사
는 “이번에 기능을 밝혀낸 효소는 생체시계가 몇시인지 보여주는 시계바늘의 역할을 한다”며 “이 연구는 생명체 안에서 직접 생체시계의 작동 과정을 밝혔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 ...
카레라이스가 해장에 도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생기면 이것이 간에 있는 혈관을 압박해 혈액순환에 장애를 일으킨다.요켈라이넨
박사
는 “쿠르쿠민은 음식물을 통해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간 질환에 효과가 있는 다른 약물보다 더 안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험쥐에게 먹인 쿠르쿠민의 양은 카레 요리에 사용되는 양보다 훨씬 ... ...
촉감 느끼는 로봇 손가락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스페인 카르타헤나 폴리테크닉대 토리비오 페르난데스 오테로, 마이라 테레사 코르테스
박사
팀은 전기를 이용해 촉감을 느끼는 로봇 손가락을 개발해냈다고 ‘어드밴스드 머티리얼’ 최신호에 소개했다.개발된 로봇 손가락은 사람이 촉감을 느끼는 방식을 이용한다. 사람은 부스러지기 쉬운 ... ...
미국이 준비한 첫 인터넷 전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위해 만든 이론 12개의 기본입자와그 힘을 매개하는 입자를 설정하고 있다 작고한 이휘소
박사
도 표준이론 설립에 큰 공헌을 했다태양계 형성 직후 만들어진 지름 수 km크기의 작은 천체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소행성이 만들어졌다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많으며 1km 이상인 ... ...
펭귄 수컷의 뱃속은 아기 음식창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주로 청각에 의해 부모를 알아본다고 알려져 있다. 1998년 10월 ‘네이처’에 게재된 오빈
박사
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기 펭귄이 자신의 부모가 부르는 소리를 알아들을 수 있는 최대 거리는 약 8-9m라고 한다. 하늘을 쳐다보다가 설혹 넘어져서 둥지를 벗어난다 하더라도 이 거리를 넘지 않는다면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것은 아니다. 우장춘이 씨없는 수박을 개발한 과학자가 아니고 이태규가 최초의 이학
박사
가 아니며 이원철이 새로운 별을 발견한 것이 아닐지라도 그들의 명성은 퇴색되지 않는다. 이들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다른 측면에서 뛰어난 과학적 성취를 이룬 한국의 대표적인 과학기술자들이다. ... ...
레고처럼 조립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단독주택과 같은 작은 건물을 짓는 전문가에게 초고층빌딩을 짓는 의뢰가 들어올까? 아마도 단독주택 전문가가 초고층빌딩을 제대로 지을 수 있다고 생각 ...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같은 공기업에 취직하거나 대학에 교수로 임용됐다. 현재는
박사
과정 7명, 석사과정 9명으로 구성돼 있다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책을 읽고 있었다. 런던대에서 물리학을 전공한 크릭은 2차 세계대전으로 미뤄진 자신의
박사
논문을 캐번디시연구소에서 마무리지으려는 심산이었다. 하지만 슈뢰딩거의 책을 읽고는 자신의 전공을 생물학으로 바꾸기로 결심했다.왓슨과 크릭은 만나자마자 친구가 됐다. “짐과 나는 쉽게 ... ...
4 생명의 기원과 유전자 비밀 밝혀줄 핵심분자RNA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유전병을 비롯한 여러 인체 질환에 대한 유전자 치료요법이 가능해진다.이외에도 골드
박사
가 개발한 셀렉스 기법을 이용해 다양한 기능의 리보자임이 개발되고 있다. 실험실에서 RNA를 인위적으로 합성할뿐 아니라 표적으로 삼는 특정 분자의 구조에 꼭 들어맞는 최적구조체의 RNA를 설계해 합성한 ... ...
이전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