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흐름▲ 브라운관(CRT) 출현전자식 TV의 개발은 1897년 독일의 물리학자인 브라운
박사
가 전기현상을 이용해 최초의 CRT인 전자관을 발명함으로써 시작됐다. 1941년 흑백 TV 방송이 본격적으로 실용화됐으며, 이어 1953년 세계 최초의 컬러 TV 방송이 개시됐다. 컬러 TV 방송은 일본에서 1960년, 우리나라에서 1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호기심이 많고 장난기가 다분하다고 설명했다. 시시를 탄생시킨 A&M대의 두에인 크래머
박사
는 “고양이의 성격을 결정하는데 유전자만큼 환경도 중요하다”며 “똑같은 DNA를 가졌다고 해서 반드시 똑같은 외형을 가진 고양이를 낳을 수 있다는 보장도 없다”고 말했다.또한 경상대 축산학부의 ... ...
병주고 약주는 두 얼굴의 초콜릿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화학물질) 효과에 대해 회의적이다. 서울대 약학대학의 고광호
박사
는 “초콜릿에 들어 있는 트립토판과 페닐에틸아민 같은 화학물질은 초콜릿뿐 아니라 다른 음식에도 들어 있다. 더욱이 초콜릿에 포함돼 있는 이들의 양은 기능을 나타내기에 매우 적은 양이다. 또한 이들이 ... ...
골반바지 건강 해친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두꺼운 지갑을 넣고 오랫 동안 앉아 있어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르마
박사
는 건강을 위해서는 유행을 따르기보다는 허리까지 올라오는 편안한 바지를 입을 것을 권유했다 ... ...
멸종 위기에 처한 식용 바나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바나나를 집중적으로 연구해 5년 내에 바나나 유전자 지도를 밝혀낼 방침이다. 프리슨
박사
는 “바나나 게놈에 대한 연구는 슈퍼마켓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바나나보다 아프리카인들이 주식으로 먹는 품종을 개량하는데 집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베일 벗은 수정란 착상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하는 메커니즘이 처음 밝혀졌다. 미 샌프란시스코 소재 캘리포니아대의 수잔 피셔
박사
는 1월 16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수정란의 자 ... 아닌 수정란의 자궁 착상을 방해하는 새로운 피임약의 개발도 가능할 것이라고 피셔
박사
는 덧붙였다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궤도에 관한 수학적 모델이 확립됐다. 크루엔야의 이런 궤도 모델은 캐나다의 폴 위거트
박사
가 이끄는 연구팀에 의해 밝혀졌으며, 이들의 연구결과는 같은 해 영국의 ‘네이처’ 6월 12일자에 실렸다.5km 크기의 소행성 크루엔야의 움직임을 아주 먼 우주공간에서 내려다본다면 단순하게 나타날 ... ...
인터넷으로 밝혀진 좁은 세상의 구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다.참고로 바라바시 교수의 설명 이후 미 보스턴대 아마랄
박사
가 직접 항공망의 연결선 수의 분포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는 항공망의 연결선 분포가 멱함수 법칙을 정확히 따르지는 않았다. 그러나 연결선이 많은 허브의 출현을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예이기 때문에 여기서도 ... ...
분뇨에서 노다지 캐는 환경공학자 박완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한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쓰레기 없는 세상 만드는 과학자이제는 만성이 됐는지 똥
박사
라는 별명에 대해 ‘딴짓 하지 말고 한길을 가라’는 채찍질로 받아인다는 박
박사
. “제 영문 이름이 W.C. Park입니다. WC는 화장실을 뜻하잖아요? 분뇨 연구가 피할 수 없는 제 운명이라는 의미인 듯해요”라며 ... ...
가치 있는 기업을 꿈꾸는 컴퓨터 의사 안철수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것은 아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안 사장이 컴퓨터 바이러스를 접한 것은 1988년 의대
박사
과정 시절이었다. 전공이 환자 진료보다는 실험, 연구방면이었기 때문에 누구보다 먼저 컴퓨터를 접하게 됐다고 한다. 한참 프로그램 언어를 배우고 있을 때 마침 자신의 컴퓨터가 세계 최초의 컴퓨터 ... ...
이전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