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3차 나로호에 실릴 인공위성 공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기간이 최대 10개월에 불과해 검증위성을 개량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한편 교육과학
기술
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국내 최초 전천후 영상레이더 지구관측위성인 아리랑 5호도 내년 6~7월 발사할 계획이다. 아리랑 5호에는 고성능영상레이더를 탑재해 구름이 끼거나 어두운 밤에도 전천후 ... ...
한국과학기자협회 올해의 과학기자상 발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올 한 해를 빛낸 과학언론인이 선정됐다. 한국과학기자협회(회장 박방주)는 ‘올해의 GSK과학기자상’ 수상자로 디지털타임스의 안경애 기자와 YTN의 임 ... 대외협력실 부실장, 임종성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홍보마케팅실장, 정민영 한국과학
기술
기획평가원 전략협력실 팀장을 선정했다 ... ...
흰개미도 깜짝 놀란 에코 빌딩 CH2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친구들도 나중에 건물을 짓게 된다면 우리 흰개미 집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연의
기술
을 꼭 사용해 봐.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라면 분명 더 멋지고, 에너지도 더 절약하는 건물을 지을 수 있을 거야. 나 흰개미가 응원할게~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철로 만들었다. 철은 돌보다 가볍고 튼튼해서 아치의폭을 충분히 넓힐 수 있다. 최근에는
기술
보다 곡선의 아름다움을 드러내기 위해 아치교를 짓는 경우가 많다. 1977년 미국 뉴리버강에는 차가 다니는 아치교로는 세계에서 가장 긴 다리가 놓였다. 뉴리버고지교라는 이름의 다리로 트러스 구조의 ... ...
캐나다, 선배가 수학 도우미로 나선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알리사(Alyssa) 학생은 이번 학기에 1교시 수학, 2교시 과학, 3교시 프랑스어, 4교시 과학
기술
수업을 듣는다. 초등학교 때까지 알리사는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한 교실에서 담임선생님께 체육과 음악을 제외한 모든 과목을 배웠다.하지만 중등학교에 오면서 수업 때마다 교실도 옮기고 과목도 스스로 ... ...
“세계 비소 오염 우리가 책임집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금속 폐광이 아무런 대책 없이 방치된 것을 보고 비소 오염 처리
기술
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시작한 연구가 한국만이 아닌 세계 곳곳에 있는 비소 위험 지역의 사람들을 돕고 있다.김경웅 교수는 “열린 자세를 가진 학생들이 연구실에 왔으면 좋겠다”라며 “외국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갈 때는 더더욱 구체적이고 뚜렷한 너만의 목표가 있어야 돼.” 선생님은 의사도 하나의
기술
을 갖고 있는 ‘엔지니어’라고 말했다. 사람의 신체와 생명을 다루는 엔지니어. 자동차를 고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설계하는 사람도 있다. 의학의 세계도 마찬가지로 청진기를 꽂고 진찰하는 의사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원자의 질량합)m=M-M′ΔE=E′-E아인슈타인의 질량등가의 공식 E=mc2을 이용해 ΔE=mc2이라고
기술
할 수 있고 실제로 만족한다면 에너지 보존법칙과 질량결손을 설명할 수 있다. 핵융합 과정은 질량결손을 복사에너지(빛)로 방출한다. 결국 항성이 빛을 낼 수 있는 이유는 핵융합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하지만 과학이 궁극으로 발달한 뒤에 어떤 종류의 테라포밍이 가능할지, 그로 인해 어떤
기술
적·윤리적 문제가 생길지 생각해 보는 건 재미있다.‘별에서 멀어 사람이 살기에 온도가 너무 낮다면 행성에 추진기를 설치해 궤도를 안쪽으로 옮기면 어떨까.’ ‘항성이 좀 어둡다면 목성 같은 거대한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노벨상 위원회는 에드워즈 박사의 중요한 발견과 도전이 지금처럼 성공적인 체외수정
기술
로 이어져 새로운 의학 분야가 등장했고 불임 부부에게 큰 희망을 안겨줬다고 평가했다.앞으로 전문가들은 생명 윤리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불임을 해결하려는 연구를 계속해야 할 것이다. 난자가 ... ...
이전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