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세상을 만드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 싶어졌어.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어떤
기술
을 발전시키고 싶니?한 눈에 이해가 쏙쏙 특집 한 걸음 더!우리는 하나! 뭉치면 세져요~! 하나하나의 작은 발전기는 여러 개를 모아도 큰 발전 에 비해 만들 수 있는 전기량이 적어요. 하지만 작은 ... ...
교육 선진국 스웨덴·핀란드 교사단, 한국에서 한 수 배우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어떻게 오게 됐는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어.교사단을 이끌고 온 스톡홀름 국립과학
기술
박물관 담당관인 마리아나 벡의 말이야.“2007년 스웨덴과 오스트리아, 한국의 과학관 교류행사에서 4D프레임을 처음 봤어요. 대부분의 수학교구는 학교에서 배우는 다면체나 구 등 미리 정해놓은 입체도형만을 ... ...
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정란은 자동으로 인공 자궁으로 옮겨가 성장하고 태어나는 방법이다. 사람을 얼리는
기술
은 어려워도 수정란은 쉽게 얼릴 수 있으며, 사람을 보낼 때보다 더 많은 수를 보낼 수 있다.이 방법은 어린아이가 태어났을 때 돌봐 주고 지식을 가르쳐 줄 어른이 없다는 게 단점이다. 냉동 수정란만 보내 ... ...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기술
(생리의학상)과 연구 초기 단계인
기술
(물리학상)이 고루 선정돼 작년에 이어 일상
기술
의 중요성이 부각됐다는 점도 올해 주목할 만한 점으로 꼽힌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시험관 아기’로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불린다. 팔라듐촉매를 이용한 탄소-탄소 반응의 대표주자들인 셈이다.LG생명과학
기술
원 의약연구소 이태희 박사는 “이들이 만든 반응은 약방의 감초라고 불릴 정도로 분자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즐겨 쓰인다”며 “특히 반응조건이 온화하고 사용하는 시약의 독성이 낮은 스즈키 반응을 ... ...
첨단
기술
과 인지과학의 만남 로보월드 2010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로봇 물고기가 물속을 헤엄치는 모습이 공개됐고, 서울에서 열렸던 2008년에는 한국과학
기술
연구원(KIST) 인지로봇연구단이 개발한 인간형 로봇 ‘마루’가 사람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 하는 모습이 공개돼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올해는 전시장 안내 로봇 ‘이디’와 세계 최초의 양팔형 휴머노이드 ... ...
새알을 품은 봉선화꽃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새 둥지’가 대상(보건복지가족부 장관상)을 받았다. 교육과학
기술
부장관상인 바이오
기술
상은 제아름 씨가 ‘천마도’란 작품으로 받았다. 이번 대회에는 모두 243개 작품이출품됐으며, 대상을 포함한 본상 14점, 입선작 48점이 상을 받았다. 당선작은 바이오현미경사진전 홈페이지(biomicro.bkidc.or.kr ... ...
구부렸다 모았다 ‘빛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더 큰 회로를 만들 수 있다.“최근 연구하고 있는 ‘플라즈모닉 소용돌이’라는 새로운
기술
을 이용하면 빛을 약 1000배 강하게 만드는 것도 가능합니다. 핫스폿의 크기가 작고 빛이 강하면 분해능이 높아집니다. 분자 크기의 물질을 구분해낼 수 있는 정밀 센서를 만드는 데에 응용할 수 있지요 ... ...
투명테이프가 선물한 노벨상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않던 새로운 환원제(요오드산과 초산)를 이용해 상온에서 그래핀을 대량생산하는 새로운
기술
을 개발했다. 기존에 사용되던 화학합성법의 경우 질소를 포함하는 하이드라진 환원제를 넣어야만 합성이 가능했는데, 이 과정에서 불순물이 생기기 쉬웠다. 필자의 연구팀은 하이드라진 대신 요오드산과 ... ...
‘빛 좋은 개살구’가 보약이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말은 좀 이해가 안 가요. (주먹을 불끈 쥐고) 저는 과학동아 열혈독자로서 육종
기술
을 이용하면 식물의 특징을 바꿀 수 있다는 것쯤은 잘 알고 있답니다. 지난해 8월호에 육종에 대한 기사가 실렸다고요. 김 박사 하하, 우리는 색깔만 바꾼 게 아닙니다. 과일의 색 성분이 몸에 좋다는 사실은 잘 ... ...
이전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