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그 때 통상적인 의미의 ‘진 로’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할 수 있다. 다가오는 겨울방학은 1년 중 가장 긴 방학이라는 점을 명심하고 진로를 탐색해보자. 그 과정 자체가 대입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더 의미 있는 대학 생활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대학은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 ...
- 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는지 알아보는 거예요.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먼저 채변 키트를 이용해 1차로 채변을 한 뒤, 장내미생물에 좋은 음식을 먹거나 운동을 하면서 장내미생물을 관리해요. 그리고 2주 뒤 다시 채변해 결과물을 보내면 참여가 끝나지요. 천랩 천종식 대표는 “시민들이 직접 자신의 ... ...
- Part 1. 참고래, 땅에서 꺼내던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었지. 누가 대체 왜 날 이곳에 묻었냐고? 4년간 묻혀 있던 참고래, 빛을 보다!지난 3월 14일,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 뒷마당에 연구원들이 모였어요. 4년 동안 땅속에 묻혀 있었던 참고래 골격을 꺼내기 위해서지요. 연구원들이 직접 삽을 들고 흙을 파자 묻혀 있던 참고래의 골격이 나타나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립백두대간 수목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나서야 본격적으로 움직여요. 그래서 지금은 이렇게 누워 있는 거예요. 이 호랑이는 100여 년 전만해도 한반도 백두대간을 주름잡았던 ‘시베리아호랑이’예요. 우리나라에서는 ‘한국호랑이’, ‘백두산호랑이’라고도 부른답니다.”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에서는 호랑이를 더는 찾아볼 수 ... ...
- [에디터노트] KSC의 품격과학동아 l2018년 11호
- 10.1m로 지금까지 개발된 로켓 중 가장 높고, 가장 무겁고, 가장 강력하다. NASA는 올해 10월 1일 창립 60주년을 맞았다. KSC에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영화 ‘퍼스트맨’ 시사 가 열렸다. KSC의 품격은 역사에서 나온다. 미국 정부가 우주 개발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부으며 내세우는 주된 가치는 ...
- 마리오 카트 8 디럭스 통계가 알려주는 최고의 캐릭터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여럿 있지만, 대부분 ‘마리오’를 생각했을 거예요. 닌텐도의 마스코트인 마리오는 1981년 닌텐도가 만든 게임 ‘동키콩’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2년 뒤 게임 ‘마리오 브라더스’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면서 닌텐도의 대표 캐릭터로 거듭났지요. 나온 지 30년이 훌쩍 넘었는데도 2014년 한 햄버거 ... ...
- [과학뉴스] 스프레이로 뿌려서 ‘나노 안테나’ 제작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성능을 보였다. 또한 두께가 종이의 10만분의 1밖에 되지 않는 62nm(나노미터·nm는 10억분의 1m) 안테나도 만들었다.연구에 참여한 바바크 아나소리 드렉셀대 교수는 “막센으로 만든 안테나는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다른 첨단 나노 소재로 만든 안테나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나다”며 “우리 생활과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3D 프린팅 기술과 다광자 석화술(Multiphoton Lithography)을 이용해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에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조각상을 만든다.재료는 자외선을 받으면 딱딱하게 굳는 광경화수지를 사용한다. 충치가 생기면 손상된 치아 사이를 메우는 ‘레진’이 대표적인 광경화수지다. 광경화수지에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무선으로 충전한국전기연구원은 1999년 10kW급 무선전력전송 장치를 개발했고, 2011년에는 가정에서 휴대전화나 태블릿PC 등을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존’도 선보였다. 박 책임연구원은 “무선 충전 기술은 의료기기에도 필요하다”며 “휴대전화나 사물인터넷의 경우 무선 충전 기술로 불편함이 ...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한국을 방문해 레이저 과학 분야의 비전을 제시해주고 있다. 스트리클런드 교수는 2011년 미국 광학회 부회장 자격으로 한국을 방문해 한국광학회 학술회의에서 강연을 한 바 있다. 당시 여성 과학도들을 격려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남창희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 ...
이전5625635645655665675685695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