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아미노기와 카르보닐기의 만남 커피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띠고 빵처럼 구수한 향기가 퍼지기 시작합니다. 이 때 수분이 대부분 증발하면서 1차 크랙이 나타납니다. 이 원두를 커피로 추출하면 꽃이나 과일, 너트, 초콜릿처럼 달달한 향과 함께 시큼한 맛(산미)이 납니다. 원두에 든 아미노산의 아미노기와 당의 카르보닐기가 결합해 새로운 분자를 만들어 ... ...
- [Career] 환자 뇌파로 재활로봇 조종한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감지된 경우에만 로봇 손이 움직이도록 설정했다”고 설명했다.뇌손상은 발병 6개월~1년이 지나면 이전 상태로 돌아가기 힘들다. 하지만 김 교수는 이런 환자들도 재활로봇 치료를 꾸준히 받을 경우 기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 교수는 “뇌파를 이용한 재활로봇은 환자가 단순히 ... ...
- [수학뉴스] ‘2018 필즈상 수상자’의 연구는?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알려주셨답니다.숄체 교수와 피갈리 교수의 업적은 필즈상 예측 기사(필즈상 미리보기 1월호, 3월호)에서 밝힌대로 ‘퍼펙토이드 공간’의 도입과 ‘최적 운송 이론’에 관한 것이었어요.강연 내용이 궁금한 독자는 네이버TV, 카오스재단 홈페이지에서 영상을 확인해보세요. 브라질 현지에서 필즈상 ... ...
- Part 1. '미스터 9’의 신기한 마술쇼!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수가 나와야 해요.예를 들어 9로만 이뤄진 세 자릿수 999는 이 조건을 만족합니다. 9992=998001이고, 998+1=999니까요. 이런 수를 특별히 ‘카프리카 수’라고 합니다. 999가 아닌 다른 카프리카 수를 찾아주세요! 지금 바로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 해당 게시물에 정답을 남겨주세요. 2명을 ...
- In My Life 누가 작곡했을까?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수학과 교수 연구팀이 In My Life의 원작곡자를 밝혔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8년 8월 1일에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북미 통계학회에서 데이터 통계 분석 기법을 활용해 원작곡자를 식별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In My Life의 작곡자는 98% 이상의 확률로 레넌이다. 매카트니가 이 곡을 ... ...
- [오일러 프로젝트] 스도쿠 해결사를 만들어라!수학동아 l2018년 10호
- 각 행과 열에 부대와 계급이 겹치지 않게 장교를 세울 수 없다고 추측했다. 1901년 프랑스 수학자 가스통 타리가 6차직교라틴방진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면서, 추측은 맞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1960년 수학자 라지 보스와 샤라드찬드라 슈리칸데, 어니스트 파커가 10차 직교라틴방진이 있다는 걸 ... ...
- Part 1.혈흔 분석 기하학, 사건을 재건하다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아무 목격자가 없는 밀실에도 제3의 목격자가 있다. 바로 혈흔이다. 피 모양과 형태를 기하학적으로분석하면 사건 현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추리할 수 있다. 참혹한 전경에 엉켜있는 진실을 수학으로 꿰뚫어 보자. 과학수사의 목표는 범죄현장에서 진실을 찾는 것입니다. 실제로 보지 못 ... ...
- [영재교육원 탐방] 한양대학교 소프트웨어 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컴퓨터가 어떤 구조로 돼 있는지,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지 하드웨어를 배운다. 1달에 1번씩 한양대 소프트웨어 영재교육원에서 직접 만든 도전 문제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 문제를 3주 정도 고민하게 한 뒤, 보고서를 작성해 제출하게 한다. 우수작은 선별해 발표한다. 특별히 8월 방학 기간 ... ...
- 경희대 네오프런티어장학생 유승윤 - “독하게 독서해 융합형 인재 어필”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말했다.마지막으로 그는 미래 후배들에게 격려의 말을 남겼다. “사실 저는 고등학교 1학년 때 전교 50등 안에도 들지 못했어요. 하지만 3년간 끊임없이 노력하다 보니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더 이상 쏟아낼 수 있을까 생각이 들 만큼 최선을 다한다면 좋은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21세기 한국의 미래,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때는 각 교수들의 전공 분야를 깊이 있게 공부한다.허 학과장은 “1학년부터 4학년까지 1년에 한 번씩은 자원개발 현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현장 체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에너지자원공학과는 재학생 전원이 국내 자원개발 현장을 경험하면서 자원개발이 어떻게 ... ...
이전5665675685695705715725735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