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Editor’s note] 도전! 노벨상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못한 난제에 도전하는 건 학자의 몫이요, 다른 이의 성과를 이해하는 건 우리같이 배우는
사람
의 몫입니다. 그동안 수학동아에서 접한 지식을 동원해 도전해 보세요. 그 또한 즐겁지 않을까요?특집 기사는 구부러진 세상을 다뤘습니다. 문명이 생긴 뒤로 곧게 쭉쭉 뻗은 직선이 많이 생겼지요. 그런데 ... ...
[수학뉴스] 수학, 잠든 그림에 숨결을 넣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바래지거나 예기치 않은 사고로 훼손되죠. 그래서 낡은 그림을 전문적으로 복원하는
사람
들이 있는데요, 최근에는 수학자도 가세했습니다.잉그리드 도브시 미국 듀크대 교수팀은 14세기 이탈리아 화가 프렌체스쿠초의 을 복원했습니다. 도브시 교수는 복원 과정을 미국 온라인 과학 매체 ... ...
[지식] 오늘이 사연, 칩 토크 게임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아마 배신하기 전까지는 청취자에게 여러 가지 도움을 줬을 거예요. 상대방이 어떤
사람
인지 꼼꼼히 살피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런 이점도 무시할 수 없지요. 그래서 삼국시대의 관리들도 나라에 상대국의 첩자가 들어와 있는 걸 알면서도 눈감아 줬답니다. 그리고 합리적인 인간이라면 절대 두 번은 ... ...
[과학뉴스]
사람
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영국 연구팀이 인간의 뇌를 모방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나노미터(100만 분의 1mm)크기의 인공시스템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영국 사우스햄튼대 전자컴퓨터과학과 알렉스 서브 교수팀은 뇌의 복잡하고 정교한 네트워크를 흉내 내는 데 금속산화물 ‘멤리스터’를 이용했다. 멤리스터는 ‘메모리 ... ...
[과학뉴스] 젊은 과학자들은 트위터를 좋아해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통해 공개하는가’와 같은 질문 52개로 구성됐다.그 결과 ‘트위터’를 사용하는
사람
이 25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이 트위터를 선호하는 이유는 동료에게 학계 동향이나 자신의 연구를 빠르게 알릴 수 있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페이스북(240명)’과 ‘링크드인(193명)’, ‘구글플러스(77명)’ 등이 ... ...
[과학뉴스] 노벨화학상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분자기계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노벨 화학상은 머리카락 굵기보다 1000분의 1만큼 작은 분자기계를 설계하고 합성한 과학자 세
사람
에게 수여됐다.분자기계는 전자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으며, 빛이나 열 같은 외부 자극에 반응해 일정하게 움직인다. 분자로 만든 자동차, 분자로 만든 엘리베이터, 분자로 만든 근육처럼 미시세계에서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외부에서 방문한 교수가 사울레스 교수와 연구실에서 토론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두
사람
은 칠판에 적힌 공식을 뚫어지게 쳐다보고 있었다. 10분이 넘는 시간 동안 사울레스 교수의 연구실에 침묵이 흘렀다. 드디어 사울레스 교수가 입을 열었다. “I don't know.” 그걸로 그날의 토론을 마무리했다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지난 여름 서호주의 관문도시 퍼스에 위치한 호주연방과학원에 70명의 과학자가 모였다. 각국에서 내로라하는 과학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인 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 2025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 ...
[Knowledge] 서열 사라진 사회에서 태어난 지상 낙원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모른다.침팬지도 보노보도 관계 형성에 많은 시간을 쏟는다침팬지와 보노보를 알게 된
사람
들은 대부분 처음엔 침팬지는 악하고 보노보는 착하다고 생각한다.필자도 처음에는 강연 등에서 침팬지와 보노보가 인간의 선악을 대변한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우리 인간의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꼭 필요한 물건 제보하세요”다트넬 교수는 ‘당장 세상이 멸망한다면 운 좋게 생존한
사람
들은 어떻게 살아나가야 할까’라는 발칙한 사고실험을 통해 인류 문명을 ‘재부팅’할 안내서 ‘지식’을 썼다. 불을 피우고 깨끗한 물을 얻는 법 등 당장 생존에 꼭 필요한 지식뿐만 아니라 인류가 쌓은 ... ...
이전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