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외부로 배출하며 터널 벽면에 콘크리트 조각을 붙여나가는 것까지 자동으로 한다.
사람
은 기계를 조종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터널이 붕괴되는 등 위험 상황이 발생해도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다.지하공간을 튼튼하게 지탱하고 보강하는 것은 지상에 세우는 일반 건축물처럼 기둥을 세우는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
이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약속을 잡아
사람
을 만나야 한다고 말했다. ‘마음의 소리’ 담을 취미 필요해특히 다른
사람
과 직접 만나는 방법으로 외로움을 이겨내야 하는 중요한 이유는 SNS나 게임처럼 온라인 세상으로부터 얻는 인위적인 쾌락이 시간이 지날수록 역치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매일 습관처럼 접속하는 수준을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연구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이비인후과용 ‘알파고’ 개발에 도전두
사람
은 시도 때도 없이 만난다. 새벽에도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을 정도로 친해졌다. 서로 생각을 나누는 데 부담이 없다 보니 자연스레 새로운 아이디어도 많아졌다. 그렇게 나온 결과물이 ‘이비인후과용 질환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살고 있는 생물의 수를 정확히 알지 못해요.하지만 지구상의 종 수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사람
들이 동의하는 것이 있어요. 지구상의 많은 생물들이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는 거예요. 1년에 전체의 약 0.01~0.1%에 해당하는 생물들이 멸종되고 있거든요. 과학적으로 분류된 200만 종만 따져 봐도 1년에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동물들에게도 관심을 갖자는 취지에서 마련된 이벤트죠.2주 동안 진행된 투표에 많은
사람
들이 참여했어요. 직접 투표 참여자와 홈페이지에서 댓글로 투표해 준 50여 명의 친구들을 합쳐모두 908명이 투표에 참여했죠.그 결과 블롭피시가 908표 중 243표를 받으며 압도적으로 멸종위기 ... ...
Part 1. 백해무익, 담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바퀴벌레 살충제가 들어 있다고?!“콜록콜록~!” 담배 피우는
사람
옆에 있다가 담배 연기를 맡게 되면 기침이 나고 코가 매워요. 담배 연기 속의 해로운 물질이 코와 기도, 폐 등을 자극했기 때문이에요.담배에는 약 4700여 가지의 유해 물질이 들어 있어요. 바퀴벌레 살충제에 쓰이는 니코틴과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길을 가기로 합니다. 덴마크 정부는 특별한 정치가만 살아남는 ‘생존’이 아닌, 모든
사람
들이 함께 잘 사는 ‘공존’을 추구하는 정치 체계를 만들어 나갑니다. 이 정신을 바탕으로 덴마크는 세계 최고의 복지시스템을 가진 나라로 성장합니다. 이러한 덴마크의 복지 체계가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페리틴 단백질’을 결합해 자성을 갖는 이스트를 만들었어요. 페리틴 단백질은
사람
의 몸에도 있는 단백질로, 산소를 옮기는 적혈구 속의 헤모글로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철 이온을 저장하는 역할을 해요. 자석으로 철을 문지르면 자석으로 변하듯 페리틴 단백질 속 철 이온이 자성을 갖게 만든 ... ...
[수학뉴스] 수학, 잠든 그림에 숨결을 넣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바래지거나 예기치 않은 사고로 훼손되죠. 그래서 낡은 그림을 전문적으로 복원하는
사람
들이 있는데요, 최근에는 수학자도 가세했습니다.잉그리드 도브시 미국 듀크대 교수팀은 14세기 이탈리아 화가 프렌체스쿠초의 을 복원했습니다. 도브시 교수는 복원 과정을 미국 온라인 과학 매체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사실은 곡선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은 모두 곡선이었다. 세상은 굽어 있었으며,
사람
이 만드는 물건도 하나둘 구부러지고 있다. 고정관념을 떨치고 만들어질 구부러진 미래의 모습이 기대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이런 게 다 곡선?!Part 2. 세상은 ... ...
이전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