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는 알고 있다, 과거 당신이 무엇을 했는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전에 나타난 종은 유전자가 더 많이 변해 있고 최근에 나타난 종은 적게 변했다는 사실을 이용한 연구다.그 결과 사람의 이는 약 300만 년 전에 고릴라의 이에서 처음 옮아온 것으로 나타났다. 고릴라와 인류 조상이 가까운 지역에 살았다는 뜻이다.연구팀은 사람의 옷에 기생하는 옷니의 유전자를 ... ...
- 서울공대 카페 12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종종 난간을 뚫고 한강으로 떨어졌던 것이다. 김 교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해 차도와 난간 사이에 방호울타리를 설치하면 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서울시에 제안했다. 결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사고가 현저히 줄어들어 다른 교량에도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났다. 우리 ...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것을 깨달았다.특히 이런 연구를 할 때에는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데, 이때 슈퍼컴퓨터를 이용하고 있었다. 우리가 방문한 카이스트 수리과학과에는 러시아 수학자의 이름을 딴 ‘소볼레프’라는 소형 슈퍼컴퓨터가 있었다. 작은 본체 5개가 결합된 형태로, 한 번에 92가지나 되는 일을 처리할 수 ... ...
- [시사] 수학자의 예술혼, 세계문화유산으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현의 길이의 비를 건물 방의 치수로 사용했다. 즉 1 : 2/3 : 1/2 = 12 : 8 : 6을 비례식으로 많이 이용한 것이다.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피타고라스는 현악기에서 협화음을 내는 현의 길이의 비에 주목하고 음계를 만들었다. 그 결과 두 현을 튕겼을 때 나오는 두 음은 현의 길이의 비가 1:1이거나 2:3, 1:2이면 ... ...
- 수학으로 만든 화폐, 비트코인!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할 때 별다른 인적사항이 남지 않고 돈을 주고받은 주소만 기록된다는 점 때문에 범죄에 이용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해요. 그리고 부자들이 자신이 가진 재산에 대한 세금을 피하기 위해 재산을 숨기는 데 활용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어요. 이런 주장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에요. 하지만 ... ...
- Intro. 우주론의 역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이론을 발표하다. 우주의 지평선 문제와 평탄성 문제를 해결.1998년1a형 초신성을 이용한 관측 결과 우주가 50억년 전부터 가속팽창하고 있음을 발견하다. 터너가 암흑에너지라는 용어를 만들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지배하는 검은 손 암흑에너지Intro. 우주론의 역사Part 1. 우주를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김치에 많은 젖산은 122℃로 가열하면 젖산염으로 변해 신맛이 사라진다. 이런 성질을 이용해 신맛을 줄이고 새로운 양념을 넣기 위해 보통 신 김치를 김치찌개나 김치찜 등으로 끓여 먹는데, 이 때 몸에 좋은 유산균이 다 죽을까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사람을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 유산균의 ...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왜곡되면서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 이론적으로는 24시간 이상도 충분히 가능하다.웜홀을 이용한 시간여행의 좋은 점은 미래와 과거 양방향 여행이 모두 가능하다는 점이다. 우선 웜홀의 한쪽 입구(A)에 중성자별을 갖다 놓아 시간팽창을 일으킨다. 그런 다음 반대쪽 입구(B)에서 출발해 정상적인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나는 마지막으로 주리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고 싶어 설명해 주었다.“양자얽힘을 이용하면 가능해.”주리는 명민한 후손답게 질문했다.“하지만 얽힘이 이뤄지려면 ‘관찰’이 선행되어야 하잖아요?”“그렇지. 그래서 에 대한 정보 한 토막을 찾는 게 우선이야. 누군가가 ... ...
- 수학 공식? 그림 한 장이면 OK!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쉽지 않다. 게다가 직접 증명을 하려면 수학에서 합을 나타내는 ‘시그마(Σ)’의 성질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더 어렵다.하지만 오른쪽과 같은 그림 하나면 홀수의 합을 구하는 공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그림은 100년 경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니코마쿠스의 그림으로, 초록색 돌과 파란색 돌을 ... ...
이전5645655665675685695705715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