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노 교수는 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 영화 제작에 필요한 CG기술을 개발하고, 그 기술을 이용해 영화의 특수효과나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일을 하고 있다. 영화나 애니메이션 같은 콘텐츠 사업에서는 미국이 헐리우드를 중심으로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이제는 점차 세계로 퍼지는 ...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더 적은 피를 흘리며 더 많은 질병을 치료할 수 있게 됐다. 앞으로는 줄기세포 등을 이용해 장기와 조직을 만들어 병든 장기를 대치하는 재생의학, 인간과 기계를 결합한 사이보그, 나아가 몸을 절개하지 않고도 혈관 내로 들어가 수술을 하는 나노로봇 등이 외과의 영역이 될 것이다 ...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는 재생의학, 줄기세포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문득 줄기세포를 이용해 난치병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스쳐지나갔다. 줄기세포 구축에 필요한 재료들이 그동안 자신이 다루어왔던 정자와 난자, 배아였기 때문에, 이 분야도 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이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차세대 시스템을 개발하던 무렵, 그는 2008년 애플사가 선보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폰 뱅킹까지 준비하고 있었다. 인터넷 뱅킹 다음으로 스마트폰 뱅킹이 시장에 들어올 것이라는 것을 예측하고, 개발을 시작한 결과 은행업계에서 최초로 ‘하나은행 스마트폰 뱅킹 서비스’를 도입할 수 ... ...
- PART 2. 남산 위에 저 소나무, 귤나무로 바뀔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바뀐다. 오랫동안 키워왔던 작물이 갑자기 자라지 않을 수도 있고, 비닐하우스나 온상을 이용해야만 했던 작물을 아무런 설비 없이 키울 수도 있게 된다. 남산 위의 저 ‘소나무’는 귤나무로 바뀐다추위에도 굴하지 않고 바위 틈에서 꿋꿋이 자라나는 소나무는 우리나라 산림면적의 20%를 차지하는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등장하기 직전의 중요한 입자물리학 이론(자발적 대칭성 깨짐)과 힉스 메커니즘을 이용해 완성한 물리학 이론(전자기-약작용과 표준모형)이 모두 노벨상을 받은 상태에서, 핵심 연결고리인 힉스 메커니즘만 상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워낙 어려운 이론이어서 여전히 힉스 메커니즘과 힉스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일과를 시작해서, 스마트폰을 보면서 잠든다. 어찌 개인뿐일까. 기업들도 스마트폰을 이용해 업무를 효율화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과거에는 현장에서 업무를 처리하려면, 사무실에 들어가 컴퓨터를 켜고 입력을 해야 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저희가 개발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달려라 현 교수가 박사학위를 받은 분야는 지금도 마이너한 분야인 음파화학. 초음파를 이용해 물질을 분석해 내는 분야다. 지금 연구와 전혀 상관없는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것인데, 쓸데없이 시간을 보냈다는 후회가 되지 않냐는 질문을 던져봤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당시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거머쥐고 한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요즘은 대사공학 등의 기술이 좋아져 미생물을 이용해 휘발유 등을 만드는 실험도 일부 성공하고 있지만, 당시에는 ‘에탄올(알코올의 일종)’ 정도만 조금 합성해도 큰 성과로 여겼다. 더구나 실험적으로 일부 에탄올을 만든 것과, 상용화 가능한 수준의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수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최근 서울시가 공개한 1970년대 이후의 서울 항공사진을 이용해 서울 한 지역의 공간 변화를 시간순으로 비교해 봤어요. 직접 보면 예상과 굉장히 다릅니다. 미디어를 통해 직접 구체적으로 본다는 것은 이렇게 판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과정이에요 ... ...
이전568569570571572573574575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