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뉴스
"
형태
"(으)로 총 6,310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 내가 아낀 전기세는 얼마?”
2015.04.01
휴대전화가 신호를 주고받고 사용자 위치를 파악해 불필요한 곳의 전기를 절약하는
형태
다. 또 콘센트마다 개인별 전력사용량을 측정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SUN) 칩이 탑재됐다.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면 계단 인근 신호기가 개인의 동선을 파악해 엘리베이터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31
“GMT는 8.4m짜리 주경 7장을 꽃잎처럼 붙여서 사용해요. 부경 역시 주경과 똑같이 꽃잎
형태
를 하고 있지요. 그래서 중앙 거울을 제외한 나머지 거울은 모두 곡면을 비대칭으로 깎아야 해요. 친구들이 본 부경이 바로이 비대칭 거울이에요. 거울 7장이 연결돼 매끄러운 곡면을 이루도록 세심하게 ... ...
이슬 머금었다 짜내는 동자꽃의 지혜
2015.03.31
구조를 가진다(A). 하지만 건조한 상태에서는 뒤틀리며(B), 수분이 다시 닿으면 원래의
형태
로 복원된다(C). - Applied Physics Letters 제공 일본 연구진이 건조한 기후에 사는 식물이 공기 중에 있는 수분을 쉽게 흡수하고 방출하는 원리를 최초로 규명했다. 이러한 특성을 모방하면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 ...
일부다처제 동물일수록 ‘마초 유전자’ 강하다
2015.03.30
깃털, 사자의 갈기는 암컷을 유혹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존에 다소 불편한
형태
이지만 번식에 유리할 경우 진화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성선택설’의 대표적인 사례다. 최근 이를 뒷받침할만한 연구 결과가 새롭게 나왔다. 주디스 마크 영국 런던대 진화비교생물학과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흰자도 반투명하고 흐물흐물하지만 70도에서는 대부분에서 변성이 일어나 백탁에 단단한
형태
가 된다는 것. 그러나 이런 개괄적인 설명만 할 수 있을 뿐 온도에 따라 구체적으로 어떤 단백질들이 변성되고 다시 뭉쳐지는가는 아직 모르는 상태다. 2_젤화제 같은 기능성 식재료나 진공회전농축기 ... ...
위조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 개발
2015.03.25
위조도 막을 수 있다. 연구진은 미세입자 표면을 코팅한 뒤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지문
형태
의 주름을 만들었다. 이 미세 주름을 여권과 시계에 붙여 실제로 위조가 불가능하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박 교수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휴대용 현미경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으로도 인공 미세지문을 ... ...
두둥! 그래핀 위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와이어 발견
2015.03.24
데 성공했다. 그래핀 나노리본이란 평면
형태
의 그래핀 표면을 폭이 10nm 정도인 좁은 띠
형태
로 만든 것으로 그래핀 자체가 도체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와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제작방법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금 나노와이어가 생성된 그래핀을 플라스마 ... ...
대덕특구, ‘연구소기업 100호’ 돌파
2015.03.23
직접 사업화하기 위해 자본금 중 20% 이상을 출자해 연구개발특구 내 설립하는 기업의
형태
로 정부의 국정과제 중 하나다. 연구소기업은 2006년 2개로 시작해 매년 7~8개 수준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지난해 43개가 설립돼 그 수가 크게 늘었다. 99호 엑토엔지니어링에 이어 100호 연구소기업 ... ...
피부 욕창 찾아주는 ‘스마트밴드’ 나왔다
2015.03.19
투명 필름 위에 전극과 회로기판을 직접 인쇄해 피부의 전기저항을 알 수 있는 반창고
형태
의 측정장치를 만들었다. 사람의 피부는 미세한 전류가 잘 흐르지 않지만, 세포막이 파괴되면 체액이 흘러나와 전류가 더 잘 흐르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스마트 밴드를 피부 곳곳에 붙여서 다른 ... ...
신용카드보다 얇은 배터리 나왔다
2015.03.17
“의료용 패치 기능을 다양화하는 분야에선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며 “다양한 배터리
형태
를 추가로 개발해 각종 전자장비에서 쓸 수 있도록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나노과학분야 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6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이전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