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뉴스
"
형태
"(으)로 총 6,311건 검색되었습니다.
펭귄은 ‘쓴·단·감’ 못 느끼는 ‘미맹(味盲)’
2015.02.17
함께 작동을 멈췄을 가능성이 크다”며 “빙하기를 거친 펭귄이 오늘날과 유사한
형태
로 진화하면서 이런 변화가 생겼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장 교수는 “다른 조류와 달리 유독 펭귄의 혀에는 맛을 느끼는 감각기관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며 “음식물을 씹지 않고 통째로 삼키는 식습관도 ... ...
초혼과 재혼 커플의 차이 찾아보니…
2015.02.17
갖다가 어느 순간 빈도가 점점 줄어든 뒤, 노년기에 다시 빈도가 증가하는 ‘U’자
형태
를 보였다. 스트루프 교수는 “한 번 헤어짐을 경험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관계가 영원히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와 신뢰가 떨어질 수 있다”며 “이런 인식이 부부관계 빈도에 영향을 미칠 수 ... ...
단조로운 직선구간이 사고위험 커
2015.02.17
원인을 높인다고 지적했다. ● 커브길보다 쭉 뻗은 직선도로가 오히려 위험 도로의
형태
도 사고와 연관이 크다는 보고가 나왔다. 명절에는 구불구불한 커브길보다 오히려 곧게 뻗은 직선도로를 더 주의할 필요가 있다. 설 연휴엔 차량끼리 부딪히는 사고보다는 차량 한 대가 주위 기물을 들이 ... ...
2020년 달 표면 누빌 한국형 로버 첫 공개
2015.02.17
충전한 뒤 10일간 활동하고 나머지 하루 동안은 다시 밤을 대비해 동면을 준비하는
형태
로 운영될 예정이다. 로버의 설계수명은 1년이다. 달 착륙선에 실어 보낼 수 있는 로버의 최대 무게가 20kg 내외이기 때문에 로버의 바퀴는 항공기 소재로 쓰이는 알루미늄 합금인 두랄루민으로, 몸체는 ... ...
글라이더로 인공위성 쏘아 올리는 세상 온다
2015.02.16
실험의 목적은 가장 적합한 글라이더 구조를 테스트하는 것으로 상용화 단계에서는
형태
가 다소 바뀔 것으로 보인다. 글라이더 중심부는 인공위성을 실은 로켓 추진체로 돼 있다. 발사후 최대 고도 12km까지 올라간 다음 항공기와 분리하게 되며, 하늘 높은 곳에 떠 있는 짧은 시간 동안 로켓을 ... ...
티베트인은 중국인과 같은 민족일까
2015.02.15
교수는 “티베트 고원 서쪽에서 발견된 석기들이 2만5000~2만 년 전 네팔 유물과 비슷한
형태
”라며 “히말라야 남쪽에서부터 티베트 고원까지 사람들이 이동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에는 유전적인 근거도 나왔다. 왕 준 베이징유전체연구소(BGI) 소장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고대 ... ...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2015.02.11
물론 뼈가 튼튼하지 않다고 죽을 정도는 아니겠죠. 그러나 가임기 여성의 뼈에서
형태
가 일그러지면 곧바로 삶과 죽음의 문제로 연결되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아기가 나오는 골반뼈입니다. 산모와 아기를 위협하는 치명적인 증세 앞에서 인류는 다시 멜라닌이 없는 흰 피부를 가질 수밖에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이젠 진짜 상용화
2015.02.10
태양전지의 효율은 12%로, 태양에너지 100을 받으면 12만큼을 우리가 쓸 수 있는 에너지
형태
로 바꿔줄 수 있다. 김 교수는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저렴하게 대면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이 아닌 실제로 보여준 사례”라며 “롤투롤 공정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46억 년 전 태양계가 형성될 때 만들어진 초기 지구는 온도가 뜨거웠을 테니 수증기의
형태
로 대기중에 있거나 암석에 뒤섞여 있다가 지구가 식으면서 엄청난 양의 비가 내리고 지각이 굳으며 수분이 빠져나와 바다를 이룬 게 아니었단 말인가. ● 초기 지구에는 바다가 없었다 태양계가 ... ...
분노조절장애 증상… 분노, 오랫동안 지속되는 장애
동아닷컴
l
2015.02.09
분노 폭발형은 흔히 말하는 다혈질 스타일로, 도저히 화를 참을 수 없어 분노가 폭발하는
형태
로 나타난다. 습관적 분노 폭발형은 목소리 크면 이긴다는 스타일로, 분노 표출이 효과적이었던 경험을 통해 시간이 갈수록 분노 표출 빈도가 높아지는 경우다. 한편 분노조절 장애의 치료를 위한 첫 번째 ... ...
이전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