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뉴스
"
형태
"(으)로 총 6,311건 검색되었습니다.
[Happy New Year! 을미년] ‘푸른 양’ 정말 있을까
2015.01.01
8개국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은 양이 400만 년 전 염소와 분리돼 오늘날과 같은
형태
로 진화해 왔다고 지난해 6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2003년 완성된 인간게놈프로젝트(HGP)처럼 양의 유전체를 분석해 알아낸 결과다. 연구팀은 “오늘날 의류로 흔히 쓰이는 양털(wool) 또한 진화의 산물”이라며 ... ...
[Good Bye! 갑오년] 靑馬 실제로 있다? 없다?
2014.12.31
탈색을 거쳐 회색을 띠게 된다. 한편 염색체 돌연변이로 말의 몸통에 하얀 반점
형태
의 얼룩무늬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말의 3번 염색체 일부 순서가 바뀌면 피부에 하얀 반점이 있는 ‘월라’가 된다. 월라는 가라와 유마, 적다 같은 기본 색에 다리가 하얗고 몸통이 얼룩덜룩한 특징이 있다. 김 ... ...
자석으로 DNA 이중나선 10분 안에 푼다
2014.12.29
적절히 배열해서 원하는 모양의 나노구조를 만드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원하는
형태
의 나노구조를 만들 수 있게 되면 암을 치료하는 약물을 탑재한 뒤 암세포에 전달하는 약품이나 초소형 전자회로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하지만 나노구조가 형성되는 원리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받은 초파리가 바로 더듬이가 날 자리에 다리가 난 변이체였다. 그런데 이런
형태
는 일반적인 기형과는 좀 다르다. 즉 보통 기형은 불완전한 기관이나 조직이 생긴 결과이지만 이 경우는 완벽한 다리가 다만 엉뚱한 자리에 위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공사 인부의 잘못이 아니라 설계도에 ... ...
[메리 크리스마스 특집] 오늘밤 제일 바쁜 산타 썰매의 비밀
2014.12.24
90% 이상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썰매의 날을 기능에 따라
형태
가 변하도록 설계했다. 예를 들어 고속으로 달릴 때는 공기저항이 적도록 얇고 날렵하게 변하지만 미끄러운 눈이 쌓인 지붕 위에 주차를 할 때는 표면적이 넓고 거칠게 변신시킨다는 것이다. 수많은 선물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했다. 에디아카라는 다세포생물이 폭발적으로 등장한 캄브리아기 직전 시대로 독특한
형태
의 화석들이 발견되면서 주목을 받았다. 이들은 캄브리아기에 등장한 생물들과 연속성이 없어 실체를 놓고 여러 가설이 난무했는데 자일라허도 가세해 가장 과격한 가설을 내놓은 것. 즉 에디아카라 ... ...
동서양의 교두보 ‘보스포루스’에서 과학의 역사를 보다
2014.12.21
따라 지정되는지, 지정되는 절차와 경위, 관련법규는 무엇인지, 타당성 조사는 어떤
형태
로 이뤄지는지에 대한 현실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환경분야를 공부하는 학생이나 과학 및 국토관리 분야 정책전문가들의 일독을 권한다. ... ...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들고 시선을 멀리 향해도 주변 풍경을 또렷하게 인식한다. 눈동자 속에 든 수정체의
형태
가 실시간으로 변하며 스스로 초점을 잡아 주기 때문이다. 그간 학계에서는 수정체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만능 렌즈’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플라스틱으로 주머니를 만들고, 내부에 기름 ... ...
‘살인진드기’ 전멸시키는 물질 드디어 발견
2014.12.18
이회선 전북대 생물환경화학과 교수(왼쪽)와 양지연 연구원. - 전북대 제공 이회선 전북대 생물환경화학과 교수팀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을 유발하며 일명 ‘살인진 ... 리포트’ 1일자에 실렸다. 연구진은 독성 시험을 거쳐 2년 안에 스프레이나 방향제
형태
로 개발할 계획이다 ... ...
나는 암세포 킬러, 암호는 ‘Y’
2014.12.17
암세포 침투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금 나노입자 표면에 Y자
형태
의 단백질을 붙인 뒤, 단백질의 양끝에 각각 암세포 표면에만 달라붙는 단백질(트랜스페린)과 세포 침투를 돕는 펩타이드(Tat)를 붙이는 방법을 고안했다. 트랜스페린 자체는 암세포에만 골라 붙을 수 ... ...
이전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