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1. 21세기 황금알을 낳는 거위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차지하는 전지의 가격과 무게비율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그림1,2) 뒤늦은 출발이지만
우리나라
를 포함한 세계 각국은 2차전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이 전지시장에 대한 안목을 일찌감치 갖고서 투자한 시간과 노력을 고려하면 당분간 일본의 독주는 계속될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역사 속에서 가장 화려했던 시절이었다. 9년 동안 2백39억 달러를 투여했는데, 이는 당시
우리나라
예산의 23배에 해당하는 천문학적인 돈이었다. 참여인원만 해도 40만명에 이르렀다.5. 우주실험의 산실 스카이랩아폴로계획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NASA는 아폴로계획에서 사용하다 남은 로켓과 우주선을 ... ...
추석 차례상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놀랄 뿐이다.현재 전세계적으로 조상들에 대한 예를 이렇게 거국적으로 올리는 경우는
우리나라
가 유일하다고 한다. 중국도 제사를 지내는 집이 있기는 하나 국가적이지는 않다. 그 어떤 나라의 조상들보다 우리의 조상들이 덕이 많은 것인지, 우리가 그 어떤 후손보다 조상의 덕을 많이 입고 ... ...
생활속의 반도체 마이컴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마이컴은 마이크로프로세서처럼 설계기술이 복잡하지 않고 응용분야가 넓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마이컴 개발사는 그리 길지 않다. 1994년 금성일렉트론이 가전용 4비트 마이컴을 개발한 것이 거의 효시. 이듬해 삼성전자는 컬러TV에 사용하는 8비트급 마이컴을 개발했다.현재 세계시장은 4비트와 ... ...
수돗물 불소화 해야하나 말아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사업의 정당성과 안전성을 신중하게 다시 '고민'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그러나 그동안
우리나라
여러 지역에 수돗물 불소화를 시행하는데 공헌을 해왔고 현재에도 지속 적으로 수돗물 불소화의 혜택을 주장하는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협회 등 치의학계에서는 수돗물 불소화의 효과는 ... ...
수돗물 불소화는 꼭 필요하고 안전하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흐르는 물에 용해돼 불소함량이 미미하 다. 그런 반면에 지하수의 불소농도는 다소 높다.
우리나라
에서도 1백50m보다 더 깊은 지하수에 서는 불소의 농도가 높은 경우가 많다.무엇보다도 우리가 섭취하고 있는 동식물에도 이미 불소가 함유돼 있다. 식물에 불소가 함유돼 있는 이유는 땅에 불소가 ... ...
Ⅱ 제2, 제3의 지동설 준비하는 유니버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관측하기 때문에 그 성능은 지상에 가장 큰 망원경보다 우수하다. 이는 미국 워싱턴에서
우리나라
서울에 날아다니는 반딧불이를 분간해낼 정도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다.허블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한 가장 먼 천체는 거의 1백억 광년 거리에 떨어져 있는 퀘이사(quasar)와 같은 밝은 은하이다. 빛이 이 ... ...
인조인간 로봇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외계인이 비행접시를 타고 지구에 날아와 인류의 호전성을 경고한다는 내용으로,
우리나라
에도 소개된 고전 걸작 SF다. 이 작품에서 사람들이 외계인을 죽여버리고는 로봇에게 “네 주인을 죽여서 미안하다”라고 하자, 로봇은 “아니다, 내가 그의 주인이다”라고 대답한다. 이 아이디어는 1979년에 ... ...
북한 천연기념 동물15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등 이름이 독특한 것이 흥미롭다.1) 가장 작은 동물 사냥꾼 무산흰족제비 Mustela nivalis 2)
우리나라
단 하나의 민물거북 남생이 Chinemys reevesii 3) 쥐처럼 우는 고산성 동물 우는토끼(쥐토끼) Ochotona haperborea 4) 덩치 큰 도마뱀 대장지 Eumesus chinensis coreensis 5) 최 ...
수돗물 불소투입은 절대 안된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불소화 찬성론자인
우리나라
어느 교수가 기고한 글에 따르면 "미국에서 1945년에서 1994년까지 불소과잉주입에 의해 6건의 사고가 나고 2명이 사망했지만 전염병 예방접종으로 인한 부작용과 비교하면 안전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 ...
이전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