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그리 어렵지 않았다. 카누가 워낙 작아서 큰 힘을 들이지 않아도 쭉쭉 앞으로 잘 나간다.
처음
에는 카누가 뒤집히면 어쩌나 걱정도 했지만 나카라 강의 수심이 워낙 얕은 데다 물도 따뜻해서 나중엔 일부러 물에 들어가고 싶을 정도였다.이렇게 물의 온도가 따뜻한 이유는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이다.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않지만 포장법의 차이는 사실 옷 구조가 다른 데서 비롯된다.우리 옷은 평면적이다.
처음
디자인할 때부터 평 면으로 설계됐고 완성된 모양도 평면이다. 따라서 양복처럼 구겨질 것을 걱정해 옷걸이에 걸어둘 필 요가 없다. 종이처럼 접어 납작하게 정리할 수 있기 때문에 솜옷이 아니고서는 개켰을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지구제국(Imperial Earth)’에서 우주 어딘가에 있을 미니 블랙홀을 활용하는 우주선을
처음
으로 선보였다.그렇다면 이런 블랙홀은 어디에서 구할 수 있을까. 크레인 교수는 “우리 태양계에서는 미니 블랙홀을 찾을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미니 블랙홀을 직접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크레인 ... ...
마음도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늘 뭔가 일을 벌이고 다니는 걸로 유명했다. 물론 그에겐 그런 동분서주가 자랑거리였다.
처음
만나는 사람들은 그의 낙관적이고 저돌적인 성격에 솔깃하기도 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의 행동 대부분이 좌충우돌에 불과하다는 걸 알고는 실망해서 돌아섰다. 그래도 그의 “내가 누군데.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숫자를 사용한 네덜란드인 하멜이 선교사와 함께 제주도에 들어왔습니다. 아마 그 때
처음
아라비아 숫자를 접했을 겁니다. 하지만 정확히 언제부터 사용했는지는 모릅니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1842년 김대건 신부가 쓴 편지에 날짜를 아라비아 숫자로 적고 있습니다. 아라비아 숫자를 적은 최초의 ... ...
한민족 조상, 동남아에서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논문에서 밝혔다. 아시아 민족의 이동 연구가 대규모로 이뤄진 것은 이번이
처음
이다.이번 연구는 2004년부터 한국, 싱가포르, 중국 과학자들이 주도해 시작됐으며 일본, 필리핀, 태국 등 11개국의 40개 연구기관에서 93명의 과학자가 참여했다. 한국에서는 국립보건원과 한국생명공학 연구원, 숭실대 ... ...
발명왕 ‘떡잎’부터 알아보고 키우는 창의발명캠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처리하는 기계 장치를 골드버그 장치라고 부른다. 루브 골드버그라는 미국 만화가가
처음
으로 이런 장치를 스케치한 데서 이름을 땄다.이 프로그램에서는 롤러코스터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물리적으로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해 간단히 배우고, 5명이 1조가 돼 아이디어를 구상한 뒤 직접 설계하고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도시’ 이론이라고 한다.이 이론에 따르면 얼음은 물이 담긴 그릇의 가장자리 표면에서
처음
생겨난다. 그러다 살얼음이 점점 가운데 방향으로 얇게 퍼지며 물 위에 생긴다. 이와 동시에 그릇 아랫부분에도 얼음이 언다. 이는 우리가 얼음을 만들려고 냉동실에 물을 담아 넣어둔 그릇을 얼음이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주위를 돌며 2003년 9월 목성과 충돌해 사라질 때까지 목성 대기에서 암모니아 구름을
처음
으로 관측했고, 이오의 화산활동과 유로파의 얼음층 아래에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을 확인했다.약 8년 동안 35차례나 목성을 돌면서 갈릴레오는 목성뿐 아니라 목성 위성에 대해서도 풍부한 데이터를 수 집했다.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도착할 수 있었다. ‘애버리진’으로 불리는 호주 원주민의 조상은 17세기 유럽인이
처음
오기 훨씬 전인 4만 년 전 이곳에 정착했다고 한다. 천천히 마을로 들어가자 어디선가 백인처럼 보이는 사람이 나타나 나가라고 한다. 상황을 설명했지만 “애버리진 마을이니 서둘러 이곳을 나가라”는 ... ...
이전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