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 조상 납시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주인공을 찾아 내다니 정말 굉장하네요.맞아요. 저는 2004년 다른 공룡화석들과 함께
처음
으로 발견되었는데, 2006년에 뼈의 90% 이상이 묻힌 매장지가 발견되면서 연구가 이뤄질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제 뼈 화석을 다른 공룡들과 비교해, 약 2억 3000만 년 전 지구상의 여러 대륙이 하나로 뭉쳐 있던 ... ...
하루를 25시간으로 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역할을 합니다.1초의 기원초라는 시간 개념은 1000년 전 페르시아의 과학자 알 비루니가
처음
으로 도입했다. 하지만 1초라는 단위를 실제로 사용한 것은 훨씬 뒤의 일이다. 1초를 나타낸 최초의 시계는 오스만 제국(터키)의 천문학자 타키 알딘이 개발했다. 알딘은 이스탄불 천문대에 있을 때 별을 ... ...
진화의 실험실, 갈라파고스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거친 바다를 건너 온 우리에게는 얼마 만에 보는 반가운 섬인가!섬을 둘러보기 위해
처음
간 곳은 ‘세로콜로라도’라는 거북이가 살고 있는 숲이었다. 약 300미터 이상의 고지대를 지나가는데 춥고 안개가 끼어 있었다. 적도에서 추위에 떨다니! 이 섬 주위로 남극에서 오는 차가운 험볼트 해류가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과정은 대부분의 땅에서 비슷한 순서로 이뤄지는데 이 과정을 ‘천이’라고 불러요. 맨
처음
맨땅이 생겨나면 거기에 콩과 식물 등 풀의 씨가 들어와 일대에 풀이 우거지게 돼요. 그런 뒤 햇빛이 잘 자라는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 즉 소나무 등의 양지식물이 숲을 이뤄요. 시간이 지나면 점차 전나무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다양한 연구의 비결은 무엇인가요?10개 국어에 능통한 동시통역사이신 고모님에 따르면
처음
3~4개 언어가 어려울 뿐 그 뒤로는 구조와 원리를 알면서 언어를 익히는 게 쉬워졌다고 합니다. 수학도 마찬가지예요. 큰 그림을 그리면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있는 경우는 둘 중 하나다. 같은 동전을 두 번 던지기로 했다면 어떨까? 기록을 할 때 “
처음
던졌을 때 나온 것을 먼저, 두 번째 나온 것을 나중에”라고 적는 순서를 정하면 경우의 수를 세기 쉽다. 조건❸ 겹치는 경우는 빼자!사건이 한 가지가 아니라 두 가지 이상인 경우, 각각의 사건이 겹치는 ... ...
Part 1. 썰매 삼총사의 달리기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153.98km가 최고 기록이야.루지보다 훨씬 무거운 봅슬레이의 속도도 만만치 않아. 무거워서
처음
에 속도를 내는 건 어렵지만 가속도가 붙기 시작하면 관성이 커져서 속도도 빨라지기 때문이야. 또 무거우면 얼음을 누르는 압력이 커져서 얼음이 잘 녹게 돼. 녹은 얼음은 경기장 표면에 물막을 만들어 ... ...
문어도 도구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조류만이 도구를 사용할 줄 아는 생물로 알려져 왔다. 무척추동물 가운데는 핏줄문어가
처음
이다. 물론 소라게처럼 비어 있는 소라를 집으로 삼는 동물도 있다. 이에 대해 핀 박사는 “핏줄문어는 코코넛 껍데기를 직접 모으고, 이를 이용해 집을 만든다는 점에서 도구 사용 능력이 소라게를 훨씬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대 더 만들었다. 모든 기능을 구현했으니 작업이 쉬울 것 같았지만 의외로 더뎠다. KHR-2가
처음
달린 뒤 휴보2가 달리기 기능을 완성한 것은 2009년 11월이었다. 1년 반 이상을 매달린 셈이다.가장 까다로운 문제는 휴보2와 KHR-2의 설계가 다르다는 점. 발의 모양도, 두 발 사이의 간격도 모두 달랐다. ... ...
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있는 것일까.여기에 대한 답은 놀랍게도 현대 컴퓨터 이론의 아버지인 앨런 튜링이
처음
제시했다. 튜링은 평소 피보나치수열처럼 생명현상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질서에 관심이 많았다. 동물이 가진 다양한 무늬 이면에 수학적인 질서가 숨어 있다는 발상은 ‘풀 수 있는’ 모든 수학 문제는 몇 개의 ... ...
이전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