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사회 요점 정리 9]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이유와 방법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국제법으로 보호하기 위해 ‘문화 다양성 협약’을 채택했다. [문화 다양성 협약]제
1
조 문화 다양성 문화는 시공간을 통해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다양성은 인류를 구성하는 집단과 사회의 정체성과 독창성을 구현한다. 자연에 생물 다양성이 필요한 것처럼 교류의 혁신과 창조성의 ... ...
Part 5. [우리의 노력 3] 분리수거 제대로 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어디로 갔을까?Part 3. [우리의 노력
1
] 과학으로 똑똑하게 분리수거Part 4. [우리의 노력 2]
1
회용품 사용을 줄이자!Part 5. [우리의 노력 3] 분리수거 제대로 해요~ ... ...
Part
1
. 무중력을 이용하라! 우주공장의 매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인류의 거주 지역으로 청정하게 남기고, 우주에 대규모 공장을 건설해야 한다.” 20
1
6년 5월, 미국 물류업체 ‘아마존’의 대표이자 민간우주기업 ‘블루오리진’의 창업자인 제프 베저스는 미국에서 열린 IT학회 ‘코드’에 참가해 우주공장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어요. 그러면서 제품을 만들기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반달가슴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온 반달 가슴곰이 지리산에 터를 잡았죠. 올해는 새끼
11
마리가 태어나 복원 사업의
1
차 목표인 50마리를 넘겼답니다. 스스로 번식하고 종을 유지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 수라, 한숨 돌린 셈이에요 ... ...
Part 2. 비버챌린지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대회에 참여했습니다. 올해가 2번째 대회지요. 올해는
11
월 5일부터 대회가 열리는데, 9월
1
일부터 비버챌린지 홈페이지(bebras.kr)를 통해 신청할 수 있어요. 2020년에는 우리나라에서 국제 비버챌린지 워크샵이 열립니다. 역사상 비유럽권에서 열리는 건 처음이지요. 워크숍에서는 비버챌린지 문제를 ... ...
우즈베키스탄에서 수학 한류를 꽃피우다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뒤에 튕기자 체험자들이 감탄을 연발했지요. 입구 중앙에는 상호지지구조물 재료
1
만 개가 놓여있어 학생들이 앉아서 바닥에 붙어있는 설명서를 보고 다빈치 돔을 연결해서 만들고, 어떤 학생은 자신의 키와 같은 높이로 새로운 구조물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담당 교사가 없는 테셀레이션 ... ...
Intro. 20
1
8 브라질 세계수학자대회를 가다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세계수학자대회 전용 방송 ICM TV에 접속하신 걸 환영합니다! 저희 ICM TV와 함께면 20
1
8 브라질 세계수학자대회를 생생하게 엿볼 수 있습니다. 다큐멘터리부터 예능까지 다양한 채널을 준비했으니 입맛에 맞는 채널을 골라 시청해 보세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사라진 필즈 메달 편Part 2. ... ...
Part
1
.사라진 필즈 메달 편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0
1
8년 8월
1
일. 코체르 비르카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필즈상을 받았다. 그런데 쿠르드족 난민 출신인 비르카 교수는 어찌된 영문인지 시상식이 끝나고 열린 수상자 기자회견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다큐멘터리 ‘그것이 알고싶냐’ 취재팀은 급히 현장으로 향했다. “비르카 ... ...
Part 2. 개성만점 수상자들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원래 빌라니가 워낙 바빠서 연락하면 일주일 후에 답이 오곤 했어요. 그런데 이번에는
1
시간 만에 연락이 와서 기뻐하며 축하한다고 말했습니다. 마치 자식이 상을 받으면 부모가 기뻐하는 것처럼요. Q 제자가 필즈상을 받으면 기분이 어떨 것 같나요? 만약 진짜로 받으면, 4대째 필즈상 수상자가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대푯값 편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시험을 더 잘 봤는지 알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바로 떠오르는 방법은 각 반의
1
~30번의 점수를 각각 비교해 점수가 높은 학생이 많으면 잘 본 걸로 하는 겁니다. 그런데 더 못 본 반의 담임선생님은 이렇게 얘기할 수 있겠죠. ‘총점은 우리 반이 더 크다!’고 말이에요.담임선생님들끼리 서로 ... ...
이전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