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반"(으)로 총 2,0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연결되면 1ms 안에 정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SK텔레콤이 모바일 망을 기반으로 하는 5G V2X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김진철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 비이클테크랩 박사는 “와이파이 망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도로마다 기지국을 설치하는 등 인프라 구축이 어렵다”며 “모바일 ... ...
- [과학동아 X DBR] BTS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경영 교과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한층 강화된 것은 더 큰 소득일 것이다. 명확한 가치와 목표를 제시하고, 자율성에 기반한 육성 지원을 하면서, 인내하고 기다릴 수 있는 것, 그리고 마침내 성과를 함께 나누는 것이야말로 밀레니얼세대와 함께 일하는 최고경영진의 역할은 아닐까. 밀레니얼세대와 함께 일하기한국 경제가 ... ...
- Part 3. 자율주행자동차, 법으로 본 3대 이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이 로드맵에 따르면 2020년 레벨3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2022년 완전자율주행 기반 마련이 목표다. 동시에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에 필요한 안전기준 및 보험제도 안이 올해 내에 마련돼 내년 말까지 제도화될 예정이다. 안전을 위한 보험제도 개편은 불가피하며, 사고 책임이 불분명한 상황에서 ...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상태로 전송하면 해킹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천정희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장)은 “군 기술에서 미사일은 기업으로 따지면 판매하는 상품에 해당한다”며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우, 애플의 아이폰 등도 코드 난독화 기술로 핵심 알고리즘을 보호할 ... ...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제작한 초박형 유기 태양전지가 대표적이다. 유기 반도체는 현재 상용화된 실리콘 기반 무기 반도체보다 흡광계수(빛을 흡수하는 정도)가 10배가량 높다. 이는 부피가 동일할 때 태양광 흡수량이 10배 많다는 뜻이다. 가령 실리콘 태양광 전지의 두께가 3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라면,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미래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물리모델과, 과거의 기상 정보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통계모델 기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통계모델은 1시간 뒤의 단기적 상황, 물리모델은 1~2일 뒤의 중장기적 상황을 예측하는 데 유리하다. KISTI가 두 모델을 통합한 종합 시스템을 구축한 이유다. 조 센터장은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측정된 가장 정확한 플랑크 상수는 6.626070150(69)×10-34kgm2s-1이다. 올해 11월 플랑크 상수를 기반으로 한 단위 재정의가 승인되면 2019년 5월 20일부터는 새로운 질량 단위를 사용하게 된다. “플랑크 상수 값을 고정해 킬로그램을 정의하면, 각 나라의 표준기관에서 플랑크 상수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알려진 ‘격자 문제(lattice problem)’를 응용한 암호를 말한다. 동형암호를 포함한 격자기반암호는 양자컴퓨터가 도입돼도 깨지지 않는 차세대 암호체계라는 것이 암호학계의 중론이다. 현재 전자상거래 등에 널리 쓰이는 RSA 같은 기존암호체계는 양자컴퓨터가 도입되면 붕괴될 수밖에 없다.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발전시키는 데 활용됐다는 점이다. 가령 최근 주목받고 있는 동형암호의 토대인 격자기반 암호는 19세기부터 정수론이나 결정학 분야에서 주로 연구된 격자이론에서 출발했다. 처음부터 암호를 염두에 두고 시작한 연구가 아니었다. 순수한 호기심을 발전시켜오지 못했다면 동형암호는 등장하지 ... ...
- [Issue] 대륙의 실수? 사실은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우리 속담과 유사하다. 오랜 시간 ‘메이드 인 차이나’ 제품에는 ‘싼 노동력’을 기반으로 만든 ‘싼 물건’이란 이미지가 있었다. 하지만 요즘 중국산 제품은 일분전일분화라는 단어로 설명하기 어렵다. 이들 제품은 ‘대륙의 실수’가 아니라 철저한 준비를 바탕으로 한 전략으로 보는 게 맞을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