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eople] 수학을 악보에 그리는 사람들 - 이지수 음악감독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음악인지 인지하기 쉽고 오히려 지루하지 않게 느껴져요. 그래서 초반 숫자 몇 개만을 이용해 주요 멜로디를 만들었어요. 이 멜로디를 어디서 몇 번 반복할 것인지, 몇 번째 자릿수까지 칠 건지 등을 고려해 파이송을 완성했습니다. 한 2일 만에 만든 것 같네요(웃음). Q. 음악과 수학은 어떤 ... ...
- [러셀 탐구생활] 제3장 의심에서 싹튼 수리철학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같은 소리의 로마어 알파벳으로 바꾸면 뜻을 알게끔 한 것이지요. 이런 암호까지 이용해서 일기를 썼다는 것은 소년이 매우 민감하고 혼란스러운 시기를 거치고 있다는 뜻이 아닐까요? 무엇이 소년의 마음을 그토록 불편하게 만든 걸까요? ◼︎ 신앙심이 흔들리다 ◼︎ 원뿔 모양의 산에 집 ... ...
- [특집] 슬라임으로 로봇을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변하는 캐릭터를 보고 영감을 받아 이 로봇을 만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자석 여러 개를 이용하면 로봇의 일부는 고정해 두고 다른 부분은 이동시켜 로봇을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 수 있어요. 로봇이 자기 몸 길이의 7배까지 가늘고 길게 늘어나는 건 물론, 가운데가 뻥 뚫려 있는 도넛 모양으로도 ... ...
- [과학 뉴스] 멸종 위기 북부흰코뿔소, 원시생식세포로 복원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원시생식세포는 2015년 체코 동물원에서 죽은 북부흰코뿔소 ‘나비레’의 피부 조직을 이용해 만들었어요. 연구팀은 “인공 정자와 난자를 만들 수 있는 원시생식세포 배양에 성공한 것은 북부흰코뿔소 복원 연구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현재 바이오레스큐는 나진과 파투의 난자, 네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영양막줄기세포의 상호작용이 결정합니다. 그렇다면, 영양막줄기세포를 어떻게 이용해야 완벽한 초기 인공 배아를 만들 수 있을까요. 해답의 실마리는 ‘블라스토이드(blastoid)’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블라스토이드라는 이름은 배반포를 뜻하는 ‘블라스토시스트(blastocyst)’와 ‘~와 닮은’ ... ...
-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과학동아 l2023년 02호
- 1m)인 물질을 나노물질이라고 하죠. 이제 조직공학자들은 전기방사(Electrospinning) 기술을 이용해 직경이 수십~수백 nm에 불과한 나노섬유를 제조합니다. 이것으로 세포 지지체를 만들어 세포의 생존, 분화에 적합한 미세환경을 제공합니다. 꿈의 나노물질이라는 그래핀도 조직공학용 지지체의 성능을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등에 자주 활용돼요. 지난해 11월 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강지형 교수팀은 갈륨을 이용해 늘어나는 전자회로를 공개했지요. 갈륨은 녹는점이 낮지만, 끓는점은 2204℃로 높아요. 2204℃가 넘어야 액체에서 기체로 변할 수 있지요. 즉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온도의 영역이 넓다는 의미예요. ... ...
- [수학체험 유랑단] 영암의 테셀레이션 의상실을 찾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수 있어요. 수업 UP↑예술로 꽃 피운 테셀레이션 실제로 테셀레이션 무늬를 이용한 다양한 작품이 많습니다. 김 선생님은 “최근에 스페인 연수를 다녀왔는데 그라나다에 있는 알람브라에서 수많은 테셀레이션을 찾아볼 수 있었다”면서, 직접 찍은 사진을 보여주셨습니다. 13세기와 1 ... ...
- [특집] 인간의 지능, 인간이 만든 지능을 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데리고 1000만 번씩 실험을 시켜보면서 이 가상의 피험자를 이해해본다”고 했다. AI를 이용해 사람이 어떤 행동을 ‘무슨 생각으로’ 했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가상의 피험자가 무슨 생각을 했는지 이해한 다음엔 반대로 가상의 피험자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도록 유도할 차례다. 사람을 바꿀 수 있는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실리코팜. 불치병 정복을 목표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뇌인지과학전공 대학원생들이 모여 실리코팜을 설립했다. 실리코팜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생체 내 질병의 원인물질인 ‘타깃’을 찾는 탐색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공동 창업자 5명 모두가 유우경 DGIST 뇌과학과 교수 연구실 구성원들이다. 2022년 11월, DGIST 산학협력관에서 김태형,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