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뇌에 컴퓨터 칩을 심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이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우리가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지요. ●필자소개 김지훈(부산 창진초 교사)안전하고 신나는 디지털 세상을 꿈꾸는 초등학교 선생님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무엇인지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재료들을 조합해 새로운 맛을 창조하기도 하고, 액체질소를 이용해 순간적으로 얼리거나 저온에서 단백질을 천천히 익혀 고기를 부드럽게 만드는 수비드 공법, 색다른 색감이나 식감을 내는 식품첨가제 등이 등장해 요리에 활용되었습니다. 분자요리의 대표적 ... ...
- 의류학자는 왜 기상 정보에 관심을 가질까?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의류학자는 섬유 과학, 패션 마케팅 등 옷에 관한 모든 분야를 연구하는데, 최근 한 의류학자가 수학 모형을 이용하면 기후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해 겨 ... 판매 데이터가 있으면 모형을 검증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가능하다면 기업 정보를 이용해 연구를 꼭 진행하고 싶다”고 말했어요 ... ...
- [러셀 탐구생활] 제1장, 러셀을 사랑한 이유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나온다는 놀라운 사실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시범을 보이겠다면서 형은 공리를 이용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증명했고, 소년은 그 과정을 경이에 찬 눈빛으로 바라보았지요. 5개의 공리만으로 이토록 우아하고 정교한 학문을 구성했다니! 소년은 감탄하며 형에게 말했습니다. “형, 이건 정말 ...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나오는 것과 전혀 다르다. 사람을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다”라며 “양자전송은 얽힘을 이용해 정보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양자역학적 순간이동 특집을 준비하며 기자가 만난 과학자들도 입을 모아 “양자전송은 원칙적으로 순간이동과 다르다”고 단언했다. 안건우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포유류 배아 인공 제작 및 합성을 연구하고 있다. 2022년 한국줄기세포생물학회(KSSCR)와 Kbio-X 가 주관하는 글로벌 젊은 과학자상(Global Young Scientist Award) 대상을 수상했다. 세포신호전달과 분자이동을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다양한 작은 동물들을 촬영할 수 있는 광음향 촬영 장비를 개발 중입니다. 이것을 이용하면 작은 동물의 적혈구와 같은 단일 세포, 혈관 네트워크 등을 볼 수 있고, 뇌가 어떻게 기능하는지도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기술까지 더해지면 신약 후보물질을 사람에게 적용하기 ...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A. 목표는 없고, 큰 꿈은 있습니다. 제 다음 세대, 그다음 세대, 또 그다음 세대까지 계속 이용되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담긴 논문을 쓰는 겁니다. ▲ 수학자 윌리엄 서스턴(오른쪽)은 기존 수학자와 다른 사고방식으로 수학의 발전을 이끈 사람이에요. 일본의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 이세이 미야케와 ... ...
- [출동, 수학 히어로! 슈퍼M] 버스 번호에 숨은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넘나드는 ‘광역버스’예요. 경기도에서 서울 도심으로 갈 일이 있다면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지요. 광역버스는 정류장의 개수가 적은 편이어서 서울시와 수도권 사이를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요. 번호만 알면 어디로 가는지 안다? 버스 번호가 너무 다양해서 무엇을 타야 할지 ... ...
- [전지적 독자 시점] 독자가 만든 NEW 과학동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유채현 독자위원의 아이디어에서 출발했습니다. “도쿄대에서 양자역학적 원리를 이용해 순간이동 실험을 성공했었는데, 그 뒤로 세계적으로 연구가 되고 있는지, 어떻게 됐는지 쓰면 재밌을 것 같아요.” ‘양자역학적 순간이동’ 주제는 두 차례 걸친 독자위원 투표에서 모두 1등을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