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즈마로 물 속
박테리아
죽이는 광촉매 효율 5배↑
동아사이언스
l
2017.08.23
받으면 하이드록시 라디칼(OH⁻)이라는 물질을 생성한다. 이 물질이 악취물질,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을 분해해 생체에 무해한 물과 이산화탄소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산화 타이타늄은 자외선에만 반응한다는 단점이 있다. 태양광 중 자외선 비중은 4%에 불과하기 때문에 거의 46%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그럼에도 ‘사이언스’는 비소
박테리아
논문을 철회하지는 않았다). 당시 필자는 비소
박테리아
논문을 읽어본 뒤 ‘이건 아닌 것 같다’는 예감이 들었지만 이번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 논문은 잘 모르겠다. 부디 탄소13 동위원소 표지법 실험에서도 폴리에틸렌을 분해하는 것으로 결론이 나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농도가 높았다. 이런 사람의 장에 있는 에게르텔라 렌타(Eggerthella lenta)라는
박테리아
가 디곡신을 환원시켜 활성이 없는 다이하이드로디곡신으로 바꿔놓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약효를 본 사람들의 장에도 에게르텔라 렌타가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지난 2013년 ‘사이언스’에는 이 ... ...
[사이언스 지식In]용가리과자 속 액체질소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7.08.04
사용하고 질소커피에는 기체인 아산화질소(N₂0)를 씁니다. 아산화질소는 토양에서
박테리아
에 의해 합성되거나 인공적인 화학합성을 통해 생성되며, 산소 한 개가 질소분자에 붙은 것으로 의료용 마취제 등으로도 쓰이는 기체화합물입니다. 질소커피 액화질소를 과자 위에 직접 뿌리는 ... ...
공기방울로 세포 이동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7
빛(열 에너지)을 이용해 원하는데로 물체를 이동할 수 있다. - 명지대 제공 세포나
박테리아
같은 생체 조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낱개로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현미경으로 조직 덩어리를 들여다 보면서 집게나 주사기 등 얇고 가는 도구로 낱개로 떨어져 있는 세포를 분리해 원하는 ... ...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 201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브루스 보이틀러 미국 텍사스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6.24
업무지원과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밤낮없이 일하는 보이틀러와 함께 그 역시
박테리아
배양기를 조절하거나 DNA 서열을 읽는 등 연구를 도왔다. 보이틀러 교수는 “이제 전 세계의 과학자들과 관계를 맺고 질병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폭넓은 연구를 펼쳐갈 것”이라고 말했다. ● ... ...
항생제 내성 생기는 건 ‘
박테리아
의 섹스’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7.06.19
복잡한 과정을 통해 이뤄지는 것을 규명했다. 우선, 인체 감염균과
박테리아
가 ‘
박테리아
의 섹스’로 불리는 접합 과정을 거쳐 서로의 DNA를 공유한다. 이후 방선균이 죽어 세포가 깨지면 항생제 내성 유전자와 감염균의 DNA 조각이 포함된 DNA들이 함께 나온다. 이 조각을 인체 감염균이 자신의 ... ...
미세먼지에 효과있는 마스크 따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6
분류되는 PM2.5는 지름 2.5μm 이하인 먼지를 일컫습니다. KF94와 KF99는 미세먼지보다 작은
박테리아
나 바이러스 같은 전염성 질병원도 차단할 수 있습니다 ... ...
면역력 키워 암 고치는 천연물질 국내 연구진이 최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6.15
스스로 암세포를 제거하도록 돕는 약이다. 현재 쓰이는 암 면역보조제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로 만들어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식물에서 추출하는 천연 물질에 주목했다. 천연 물질은 생물의 몸속에서도 독성이 낮아 안전한 물질로 알려져 있지만 면역 조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해 암 ... ...
미어캣 집단 소통 방법은? 바로 꼬리 아래 ‘OOOO 냄새'
동아사이언스
l
2017.06.12
레클레어 연구원은 또 “우리가 아는
박테리아
는 극히 일부일 뿐”이라며 “더 많은
박테리아
와 거기서 나오는 물질을 밝히면 동물의 소통 과정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