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뉴스
"
박테리아
"(으)로 총 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11.20
스테파니아 올슨 연구원은 “과거 기후 모델은 대부분의 메탄가스가 바닷속
박테리아
의 활동으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무시했다”며 “암석이 깨지면서 강과 바다로 흘러든 황산염 성분 때문에 메탄가스가 덜 생성되거나, 생성되더라도 황산염과 반응해 가라앉으면서 대기 중으로 나가지 못했을 ... ...
집에서 간편하게 리코타치즈 만들기!
과학동아
l
2016.10.23
들어 있답니다. 치즈 표면을 삭혀 얼룩덜룩한 무늬를 내기도 하지요. 하지만 브레비
박테리아
보다 더욱 진하고 특이한 풍미를 내는 주인공이 있어요. 바로 곰팡이에요! 자르지 않은 이 치즈들의 겉표면에는 마치 바위에 이끼가 낀 듯이 곰팡이가 피어 있어요. 항생제를 만들기도 하는 페니실륨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이해하려면 먼저 광합성 메커니즘을 밝힌 멜빈 캘빈의 연구방법론을 알아야한다. 시아노
박테리아
와 녹조류, 식물이 도대체 어떻게 빛의 도움을 받아 이산화탄소와 물로 포도당을 만드는지 궁금했던 캘빈은 1950년대 녹조류를 대상으로 ‘방사성원소표지법’이라는 기발한 방법을 써서 그 과정을 ... ...
韓 고교생, 식량문제 해결법 제시해 국제과학대회 3등상
2016.10.12
서 양과 홍 군 팀은 상금 3500유로(약 434만 원)를 받았다. 청심국제고 팀은 호염(好鹽)성
박테리아
를 이용해 바닷물로도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미래 식량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두 학생은 올해 1월 열린 ‘제13회 한국과학기술지원단(KSEF)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덜 만들고 부탄올은 더 만들게 유도하기도 했다. 또 클로스트리디움속(屬)의 다른 종
박테리아
를 대상으로 연구를 넓히기도 했다. 오늘날 대사공학 연구에서 가장 앞서가는 곳 가운데 하나가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부 이상엽 교수팀으로 특히 바이오부탄올이 두드러진다. 이 교수팀과 GS칼텍스 ... ...
[2016 노벨 화학상]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 기계’
동아사이언스
l
2016.10.05
생긴 분자 집합체인
박테리아
의 편모를 예로 들었다. 여러 가닥의 편모가 회전하면
박테리아
는 앞으로 나아간다. 하지만 거대한 손을 가진 인간이 전자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이처럼 작은 기계를 어떻게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풀리지 않았다. 실제로 파인만은 작은 기계를 ... ...
인간에게 치명적인 고양이 할큄병?
2016.09.29
애완용보다는 야생의 고양이일 확률이 높다는 것이지요. 집에서 키우는 고양이들이 이
박테리아
에 감염되었을 확률은 극히 적다고 합니다. 다만 조심할 필요는 있을 텐데요. 이와 관련한 주의사항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고양이가 공격적으로 할퀴거나 깨물 정도로 강도를 세게 하며 ... ...
NASA가 중대발표란 이름의 ‘낚시’를 하는 이유
2016.09.27
하겠다고 예고했는데, 막상 발표 당일엔 ‘독성물질인 비소(As)를 이용해 생존하는 신종
박테리아
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마저 곧 진위논란에 휩싸였고, 연구결과를 반박하는 논문이 뒤를 이었다. 이런 사례는 여러 차례 반복됐다. 2012년에는 ‘역사책에 남을 만한 발견을 했다’고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원뿔, 판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 엄밀히 말하면 암석에 박혀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박테리아
같은 미(微)화석이 모여 있는 덩어리이지만 그 자체를 화석으로 본다. 따라서 화석 가운데 가장 가치가 떨어지는 것 같지만(맨 눈엔 개별 생명체가 보이지도 않으므로) 다른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 ...
“뇌질환 빛으로 치료하는 길 열었다”
2016.09.05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 시스템생물학과 조현수, 김지현 교수 공동 연구진은 해양
박테리아
속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인 ‘염소로돕신’의 구조를 규명했다고 5일 밝혔다. 염소로돕신은 빛을 받으면 구조가 바뀌며 세포막 바깥에 있던 염소 이온을 안으로 들여보낸다. 조 교수팀은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