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알고 보니 '얼음 공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달의 적외선을 측정한 값이다.달 표면의 온도를 달의 전 지역에서 구하긴 LRO의 자료가
처음
이다. 이 데이터에서 가장 흥미로운 결과는 깊게 움푹 파인 지형들, 즉 극지방에 존재하는 크레이터 지형에서 지금껏 어느 태양계 행성에서도 발견하지 못한 최저 기온(영하 238℃ 이하)을 측정한 점이다.낮은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작곡과 2학년에 다니던 그는 유럽에서 활동하다 귀국한 황성호 교수의 지도를 받고
처음
으로 전자음악에 대해 알게 됐다. 전자음악은 녹음기 같은 전자기기로 여러 소리를 녹음한 뒤 테이프를 무작위로 잘라 순서를 바꾸거나 앞뒤를 바꿔 붙인 다음, 소리를 재생하면서부터 시작됐다고 한다. 이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간판타자였던 루 게릭(Lou Gehrig)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그는 1932년 아메리칸리그 선수로는
처음
으로 한 경기에서 홈런 4개를 몰아쳤으며 2년 뒤에는 아메리칸리그의 타율, 홈런, 타점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해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당대 최고의 야구선수였다.게다가 그는 2130경기에 연속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조선 로켓, 팔만대장경에 쓰인 소금을 맛보다 소금박물관은 1953년 태평염전이
처음
생겼을 때 지었던 소금 창고를 2007년에 박물관으로 개조한 건물이다. 이곳은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돌로 만들어진 소금 창고였다. 박물관은 규모가 크진 않지만 볼거리는 많다. 과거 염전에서 쓰이던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공기의 온도 차이를 이용해 활강하듯이 먼 거리를 이동했다.2억 2000만 년 전 익룡이
처음
등장했던 무렵에는 크기가 작고 이빨이 있고 꼬리가 긴 형태였다. 그 뒤 점차 몸이 커지고 부리가 발달하고 꼬리가 짧아지면서 영화‘쥐라기 공원’에 나오는 익룡의 모습을 띠게 됐다. 지금까지 발견된 익룡의 ... ...
“친환경 솔라보트 시대 주춧돌 되겠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인버터 용량을 모터의 구동전압보다 높게 설정해야 한다는 사실도 대회를 준비하면서
처음
알았죠.”전연상(충남대 선박해양공학과 4학년) 씨는 기계나 전기 같은 다른 전공 지식을 선박에 적용시키는 것이 특히 힘들었다고 고백했다. 평소 배의 선형을 설계하는 일에는 익숙했지만 태양전지로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현재 캡슐형 내시경은 국내 대형병원에서 도입해 활용 중이다. 2001년 이스라엘에서
처음
개발된 이래 올림푸스 같은 일본 업체는 물론 국내 기업도 캡슐형 내시경 시장에 뛰어들었다.하지만 캡슐형 내시경에도 문제는 있다는 게 과학계의 진단이다. 가장 결정적인 흠은 렌즈를 의료진이 원하는 특정 ... ...
돌고래는 자는 게 자는 게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사이에 경고음을 불규칙하게 섞어 들려 주었지요. 돌고래들은 5일이 지난 뒤에도 여전히
처음
처럼 경고음에 민감하게 반응했답니다. 시각적인 자극이 섞여 있는 좀 더 복잡한 실험에서도 돌고래들은 여전히 정확하게 반응했어요. 연구팀은 돌고래들이 잠을 잘 때도 뇌의 한쪽은 깨어 있기 때문에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Caenorhabditis elegans )에서 배아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를 찾다가 마이크로RNA를
처음
발견했다.앰브로스 박사가 발견한 작은 RNA 조각은 2001년에야 ‘마이크로RNA’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조금씩 학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김 교수는 이때부터 마이크로RNA에 대해 연구했고 그가 이끄는 연구단은 현재 ... ...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너무 어두워 웬만한 망원경으로도 잘 보이지 않는다. 사실 왜소은하의 존재가
처음
밝혀진 시대는 1930년대였지만 크기도 작고 별도 많지 않은 왜소은하는 천문학자들이 외면해온 ‘별 볼일 없는’천체였다. 그런데 10여 년 전부터 왜소은하가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암흑물질의 비밀 ... ...
이전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