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두 아이가 모두 딸일 확률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쟤가 딸이다’, ‘동전이 앞면이 나왔다’와 같은 정보를 우연히 준 건지, 정보를 주는 사람이 의도에 맞게 뽑아서 준 건지에 따라 답이 달라지는 현상을 ‘선택효과’라고 한다. 한 가지 문제를 여러 가지 상황으로 해석해서 나온 두 가지 답을 인정할지, 한 가지 문제에는 오직 한 가지 답만 ... ...
- [소프트웨어] 결정은 내게 맡겨! 가위바위보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과연 앱으로도 가위바위보를 할 수 있을까요?오늘의 미션가위바위보 게임에 참가하는 사람들은 ‘가위, 바위, 보’를 외치며 동시에 특정한 손 모양을 내밉니다. 모두 ‘바위는 가위를, 보는 바위를, 가위는 보를 이긴다’는 전제에 동의하지요. 돌을 뜻하는 바위를 가위로 가를 수 없고, 보자기를 ... ...
- [소프트웨어] 포켓몬 잡으러 GO 동해바다로 GO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사람들이 우르르 몰려간 것이지요.왜 속초에서는 포켓몬 GO가 되는 걸까요? 일부 사람들은 한반도를 뚝 잘랐을 때 휴전선의 모양과는 다르게 속초가 경계선보다 위쪽에 있기 때문이라는 근거를 들었습니다. 쉽게 말해 개발사가 속초를 북한으로 착각했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마찬가지로 경계선 ... ...
- [재미] 매미에게도 귀가 있을까?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기다란 터널로 연결돼 있었습니다. 이 터널은 양 끝이 얇은 막(고막)으로 덮여 있습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소리가 닿으면 이 고막이 진동하면서 청각기관 내로 파동을 보냅니다.터널은 동물마다 크기와 길이가 다르지만, 각자 지름과 전체 길이, 부피를 수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수학문집 어벤져스 모여라!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고 하지요. 그래서 편집위원, 이름하여 ‘수학문집 어벤져스’를 잘 뽑아야 합니다. 이들은 친구와 선후배가 1년 동안 구슬땀을 흘리며 완성한 수학 작품을 책임감 있게 문집으로 엮을 요원들이지요.편집위원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중 ... ...
- [과학뉴스] ‘덕밍아웃’으로 본 포켓몬 고 열풍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아이-쉐어링을 통한 접근은 특히 외로운 이들의 마음을 여는 데 효과적이다. 실제로 다른 사람과 소통이 단절된 실험 참가자가 비슷한 취향의 타인에게는 마음을 열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실험 결과가 있었다. 미국 콜로라도대 심리학과 톰 피진스키 교수팀은 실험 참가자를 세 그룹으로 나눠 지루함,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구현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많습니다. 힐베르트가 힐베르트 호텔을 생각한 이유는 사람들에게 무한의 역설을 소개하기 위함이지, 호텔방의 손님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이번 연구는 둘 중 후자에 방점이 찍힌 연구예요.방정호 한양대 연구조교수는 “무한이라는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매캐한 연기를 마다하지 않고 납땜에 도움을 준 자원봉사자, 즐겁게 게임을 즐긴 사람들, 기상천외한 방법으로 배지를 개조한 해커톤 참가자들이 없었다면 배지도 없었을 것이다. 이렇게 아래에서부터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분위기가 바로 김치콘이 추구하는 방향이다. 높으신 분들이 ... ...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좋은 사례다. 한국은 극지와 떨어져 있지만 우수한 극지 연구자들이 많이 있다. 이런 사람들이 북극이사회 태스크포스에 참여해서 함께 일했으면 좋겠다. P 뭐니뭐니해도 한국은 아라온 호라는 멋진 플랫폼을 가지고 있지 않은가. 남극이나 북극에 부이를 띄우려고 해도 당장 쇄빙선이 없으면 갈 수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간접적인 이득으로 상쇄되고 남는다.선행은 진화할 수 있다. 선행이 주는 이득(b)을 두 사람 사이의 근연도(r)로 곱해 삭감한 값이 선행에 의한 손실(c)보다 크다면 말이다. 해밀턴의 규칙은 세 가지 변수가 들어가는 일종의 비용-편익 분석을 통해 이타성이 진화하는 조건을 깔끔하게 알려준다. 워털루 ... ...
이전5865875885895905915925935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