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적외선을 쏘면 소리가 나는 ‘빛을 소리로’ 키트와 빛의 3원색을 차례로 섞어 그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는 ‘빛의 합성’ 키트가 호평을 받았다.전국과학교사협회의 현종오 회장(성동기계공고)은 우리나라의 과학교육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가늠하고 “이런 행사에 참석해 선진국과 정보를 교환하는 ... ...
수천개의 젊은 별들이 만들어낸 무서운 우주 독거미 타란툴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달려 있는 다리처럼 보인다. 이 우주 거미가 실제 거미처럼 8개의 다리를 가졌는지는
확인
하기 힘들지만 날카로운 다리의 생김새는 거미 다리와 많이 닮아 있다.지구에서 17만 광년이나 떨어진 우주공간에 지름이 1000광년도 넘는 거대한 우주 거미가 살게 된 사연은 무엇일까.타란툴라라는 이름은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2036년 소행성 지구 접근정밀 관측 결과 이 소행성은 2029년 지구를 비껴갈 것으로
확인
됐다. 안심하기는 이르다. 2035, 2036, 2037년에 각각 한 차례씩 지구와 충돌할 수 있다는 전망이 새로 제기됐다. 이는 2월말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유엔 산하 우주의 평화적 이용위원회에서 우주방위재단 안드레아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하면 이 정보를 바로 얻을 수 있다.김 교수는 자신의 생각을
확인
하기 위해 한양대 세라믹공학과 동료 교수와 함께 3차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으로 동일한 문제를 직접 시뮬레이션 할 예정이다. 그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물질의 결정구조를 계산하고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손에 저절로 힘이 들어간다.순식간에 구름이 코앞에 와있다. 반사적으로 계기판 온도를
확인
한다. 바늘은 영하 1℃ 근처를 가리키고 있다. 영하 8~영상 6℃에서는 거의 착빙이 일어난다. 반디를 믿자. 구름을 타넘기로 했다. 그러려면 1500m까지 올라가야 한다.반디가 올라가기 시작했다. 갑자기 온 몸에 ... ...
화성은 불의 행성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입체영상과 데이터를 분석한 과학자들은 화성에서 빙하의 이동, 기후 변화, 화산 활동을
확인
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연구자들은 ‘네이처’ 3월 17일자에 기고한 세편의 논문을 통해 “평원이 아닌 화산에서도 얼음과 빙하의 흔적이 ... ...
희귀종 분홍동백 군락 처음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 곳에는 붉은색, 분홍색, 흰색의 꽃을 가진 세 종류의 동백 28그루가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
됐다.희귀종인 분홍동백은 1994년 경남 거제시 동부면 학동리 민가에서 한 그루 발견된 적이 있으나 세 그루가 다른 동백들과 군락형태를 이뤄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발견된 분홍동백은 ... ...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물체가 낙하할 때 처음에는 느린 속도로 떨어지다가 점점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은 금방
확인
할 수 있다.무거운 공을 부드러운 쿠션 위에 떨어뜨릴 때 공을 떨어뜨리는 높이를 조금씩 높여보자. 떨어뜨리는 높이를 높일수록 떨어지는 시간이 길어지고 쿠션에 남는 자국도 깊어진다. 하지만 떨어지는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생긴다. 연구팀은 이 단백질을 담은 감자를 쥐에 먹인 결과 쥐에서 항체가 생긴 것을
확인
했다. 위험한 치매 단백질은 몸에 직접 주사하기 어려워 먹는 백신이 주사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현재 한국에서는 포항공대 벤처 제노마인이 자궁경부암을 대상으로 먹는 백신을 연구하고 있다. 생명연 ... ...
체중조절 효과 있는 5색 식품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것. 연구팀은 오스모틴의 화학구조가 당 흡수를 방해하는 아디포넥틴과 비슷하다는 것도
확인
했다. 그렇다고 과일만 먹으면 살이 찌지 않는 것은 아니다. 과일에는 당분이 많아 채소보다 당지수가 일반적으로 더 높기 때문. 손숙미 교수는 “과일은 식후보다 식전에 먹는 게 체중조절에 더 좋다. ... ...
이전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