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유해물질에 로그인!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의 연구팀은 브롬 난연제가 인간 태아의 뇌에도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
한 바 있다.일부 전기전자제품 회사들은 브롬 난연제가 제품 밖으로는 배출되지 않는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환경전문가들은 주로 전자제품을 폐기하는 과정에서 브롬 난연제가 미세한 먼지 형태로 대기에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용한 유전자 변형 감자와 고구마를 대상으로 SWPA2가 높은 온도에서 잘 견딘다는 것을
확인
했다. 이를 이용하면 가뭄과 같은 환경스트레스를 이겨내는 식물을 개발할 수 있다. 사막에 꽃을 피울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지난해부터 곽 박사는 중국과학원 물토양보전연구소, 일본 돗토리대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못할 것이다. 지난 2000년 쓴맛 수용체의 유전자가 발견되자 이런 추측이 사실로
확인
됐다. 수용체의 종류가 적어도 24가지나 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쓴맛도 24가지로 세분될 수 있는 게 아닐까. 연구결과 이들 수용체에서 전달된 신호는 모두 하나의 신경으로 통합돼 뇌로 들어간다.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저지방 식이요법이 모든 사람의 콜레스테롤을 낮추지는 못한다는 것이 실험으로
확인
됐다”며 “개인의 유전자 구성에 따라 효과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강조한다. 단 유전자와 식품 간 이 같은 상호작용은 인종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다.또다른 아포지단백A1 유전자에 변이가 있는 사람은 ... ...
텅빈 공간에서 발견한 은하 만물상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런 사실은 지난해 3월 9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공개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사진에서 뭐가 보이는가. 마치 시커먼 웅덩이에서 꼬물거리는 올챙이 같은 존재가 여기저기 눈에 띈다. 이들 모두가 은하다. 은하의 숫자는 거의 1만개나 된다. 반면 별은 손에 꼽을 만한 ... ...
낙타 17마리 나누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낙타를 끌고 세 형제와 함께 17마리의 낙타가 있는 우리로 갔다. 유언의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
한 현자는, 자신의 낙타를 합쳐 모두 18마리의 낙타 가운데 1/2인 9마리를 큰아들에게, 남은 9마리의 낙타 가운데 18마리의 1/3인 6마리를 둘째 아들에게, 마지막으로 남은 3마리의 낙타 가운데 18마리의 1/9인 ... ...
플라스크 속에서 별이 빛났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일으키는 합성염료를 플라스크에 넣고 음파발광을 일으키면 분해된다는 사실도
확인
했다”고 말했다. 음파발광으로 각종 화학반응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이다.곽 교수는 “서슬릭 교수팀은 음파발광을 이용해 혈액을 대신할 수 있는 헤모글로빈 기포나 나노 촉매를 제조하는 등 이 분야에서 가장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불어오는 육상기원의 공기에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갈색구름이 포함돼 있음이 처음으로
확인
됐다. 또 갈색구름이 전지구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더욱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런 이유로 최근 ‘아시아 ABC 연구계획’이 시작됐다. ABC(Atmospheric Brown Cloud) ... ...
우리은하에서 대폭발 일어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복사는 지구에도 영향을 미쳐 전리층이 수십km 수축하고 인공위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
됐으나 별다른 피해는 없었다. 과학자들은 이 정도의 폭발이 지구로부터 10광년 이내에서 일어난다면 대기를 심하게 파괴해 지구 생물의 대량 멸종을 불러올 것이라고 추측했다 ... ...
무중력에선 이끼도 나선을 그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중력이 없을 때 이끼는 시계방향의 나선모양으로 자란다는 사실이
확인
됐다.지난 2003년 2월 1일 지구귀환 중 폭발한 우주왕복선 콜럼비아호는 우주에서 무중력 상태가 이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보는 실험을 수행했다. 다행히 잔해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샘플의 일부가 손상되지 않은채 발견됐다.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