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심해를 누비는 드림팀, 수중로봇 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무인잠수정을 개발하기까지 10년 이상 걸린 셈이다. 왜 이렇게 긴 시간이 필요했을까.
지구
의 71%가 바다고, 이 중 60% 이상은 1천5백m가 넘는 심해다. 육지에서 가장 높은 8천8백48m의 에베레스트산도 마리아나 해구에는 거뜬히 빠질 정도로 깊다.심해 정복이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이런 깊이에 따른 수압 ... ...
이산화탄소, 하천도 오염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입장과 반대되는 결과여서 논란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강 교수는 “이산화탄소 증가는
지구
온난화와 수질오염을 통해 대규모 재앙을 가져올 수 있다”며 “전세계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25%를 차지하는 미국은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조절하는 국제협약에 동참해야 한다”고 밝혔다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그들은 어두운 지역에 메탄 호수가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타이탄에서는 메탄 호수가
지구
의 바다처럼 반짝거리는 것이다.카시니호는 4년의 탐사 기간 동안 토성 궤도를 총 76회 선회할 예정이다. 이 사이 45차례 타이탄과 만나며 그 가운데에는 이번보다 30배 정도 가까운 거리에서 관측될 때도 ... ...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가능하게 되면 광섬유(유선) 양자암호통신이 가진 거리 제한을 넘어서 전
지구
양자암호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미 국가안보국 연구원 학회 파견이처럼 양자암호가 기술적으로 빠른 진보를 거두고 있는데는 그만큼 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관심이 높기 때문이다. 중요한 사실은 기술적 ... ...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최재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만들려면 그만큼 신중함이 따라야 한다는 생각이다.최 교수는 “어쩌면 영원히
지구
상에서 사라질지 모르는 침팬지들을 보존 연구하는 것은 물론 많은 사람들이 이에 관심을 갖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한다. 그안에서 동물과 인간, 사회가 서로 공존하는 청사진을 그리겠다는 포부다.과학자도 ... ...
1억원 있으면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힘차게 양손 엄지손가락을 내밀며성공을 자축했다.3분간 우주에 머물러고도 1백km는
지구
대기권이 끝나고 우주가 시작되는 지점이다. 우주경계점에 머무른 약 3분간 멜빌은 무중력상태를 경험했다. 이 짧은 순간동안 그는 가져간 ‘엠앤엠’ (M&M) 초콜릿 봉지를 뜯었는데 바둑알만한 원색의 ... ...
만약 불 뿜어내는 개가 있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하지만 불을 뿜는 동물과 한집에서 사는 건 그리 쉬운 일이 아닐 테니 어쩌면 우리는
지구
상에서 인간과 가장 가깝고 친근한 친구를 잃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기에 단지 재미있다는 이유로 개가 불을 뿜는 세상을 쌍수 들고 환영할 수는 없을 듯하다. 신기한 개가 사는 세상은 재롱둥이 애완견과 함께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그렇다 해도 뇌 자기장은 수십-수백fT 정도로, 약 50μT(마이크로테슬라, 1μT=${10}^{-6}$T)인
지구
자기장에 비하면 그 세기가 10억분의 1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처럼 약한 생체자기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저항이 없는 초전도 상태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양자간섭소자(SQUID)를 이용한 고감도 자기센서가 ... ...
카시니가 보내온 토성 위성 포이베의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미스터리한 위성, 포이베를 2천km 거리에서 지나갔다. 이때 찍은 포이베의 선명한 모습이
지구
로 전송돼 천문학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얻고 있다.토성은 31개의 위성을 거느리고 있다. 이 중 하나인 포이베는 여러면에서 다른 토성 위성들과 다르다. 대부분의 토성 위성이 토성의 적도면을 따라 도는데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상당한 피해를 가져온 강진이 수차례 한반도를 강타했었습니다.”지진학자인 서울대
지구
환경과학부 이기화 교수의 설명이다. 우리나라에는 1905년 인천에 최초로 지진계가 설치됐다. 따라서 그 이전에 일어난 역사책에 기록된 지진은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다. 다만 기술된 내용을 보고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